삼성전자가 바이오 프로세서 양산체제에 돌입한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생체신호 수집‧처리 기능을 하나의 반도체칩에 통합한 바이오 프로세서 을 공개하고 양산을 시작하겠다고 12월29일 발표했다.
S3FBP5A는 삼성전자가 내놓은 첫 바이오 프로세서이며 기존의 다기능 센서와 달리 하나의 칩에 마이크로 컨트롤러(MCU)와 디지털 신호처리(DSP) 프로세서, 내장 플래시 메모리까지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센서는 측정된 생체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칩을 필요로 했지만 S3FBP5A에는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이 내장돼 있어 칩 하나로 생체신호 측정부터 디지털정보로 변환 처리까지 커버할 수 있고 각각의 기능을 개별 칩으로 구성했을 때에 비해 면적은 4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
또 체지방과 골격근량 및 심박수, 심전도, 피부온도, 스트레스 반응 등 5가지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복수의 측정정보를 조합해 새로운 데이터를 도출하는 별도의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있어 다양한 활용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최근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으로 개인의 건강정보를 수집‧분석하고 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헬스케어가 각광받는 가운데 시장의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며 앞으로 시스템반도체 사업을 모바일 SOC(System On Chip) 분야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분야로 확대할 방침이다.
삼성전자 S.LSI 사업부 마케팅팀 허국 상무는 “바이오 프로세서는 다양한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으로서 웨어러블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 12월부터 바이오 프로세서 양산 출하를 시작했으며 2016년 상반기에 피트니스·헬스케어 기기에 탑재돼 상용화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