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박진수)은 배터리 부문의 경쟁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LG화학은 중국 정부가 2016년 1월 국내기업이 주력 생산하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 대한 보조급 지급을 중단한데 이어 4월에는 생산, 개발, 품질, 설비 면에서 중국 당국이 지정한 기준을 갖춘 생산기업에게만 전기자동차(EV) 배터리 보조금을 지급할 방침이라고 발표하면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됐으나 생산능력 확대, 시장 다각화 등을 통해 적극 대응하고 있다.
LG화학은 2015년 말부터 중국 Nanjing 소재 배터리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EV 5만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 18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수준인 생산능력을 2020년 EV 20만대, PHEV 70만대로 4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은 EV 시장규모가 2015년 12만대에서 2020년 69만7000대 수준으로 성장해 글로벌 시장의 40%를 장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G화학은 Nanjing 공장에서 2016년 10월부터 원통형 배터리 신규 생산설비 2기를 상업가동할 방침이다.
최근 양산을 위한 준비 작업에 돌입했으며 중국에서 EV 배터리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어 소형전지 사업 강화도 결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의 모바일‧IT용 배터리 수요는 2016년 5만6313Mwh로 전년대비 약 20% 신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박영주 연구원은 “LG화학은 최근 중국의 규제 강화로 EV 배터리 사업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이미 20여개 자동차기업으로부터 40여개 모델을 수주받은 사실에는 변동이 없다”며 “중국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아직 LG화학과 본격적으로 경쟁할 생산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LG화학은 2016년 2/4분기에도 배터리 부문 영업실적이 부진하나 하반기 이후 예정된 신규 모델이 출시되고 영업실적이 개선되기 시작하면 EV 배터리 모멘텀도 회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LG화학은 2015년 배터리 부문 영업이익이 5억원으로 전년대비 99.2% 급감한데 이어 2016년 1/4분기에는 마이너스 3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배터리 부문은 스마트기기용 소형 수요가 약세를 나타내고 자동차·에너지용 중대형 배터리도 비수기에 따라 공급이 줄어들며 부진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에셋대우증권은 6월2일 LG화학에 대해 “배터리 경쟁력 우위는 유효하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목표주가는 최근 화학 시황 둔화를 반영해 40만원으로 8% 하향조정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