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대표 허수영)은 비자금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으나 검찰의 집중수사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파악된다.
검찰은 롯데케미칼이 협력기업, 일본 계열사, 홍콩 현지법인 등을 이용해 200억-3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했을 가능성에 대해 수사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다수의 공급처로부터 원료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일본 롯데물산을 끼워넣어 통행세를 받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일본 롯데물산과는 한국 외환위기 시절인 1997년 말부터 거래했는데 당시 대부분 국내기업들이 재무상태가 좋지 않아 신용장 개설을 할 수 없었다”며 “롯데케미칼은 일본 롯데물산의 신용도를 활용함으로써 금리도 당시 국내의 15-20%보다 낮은 약 9%를 적용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롯데물산이 큰 이익을 취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롯데케미칼이 롯데물산의 신용을 활용해 이익을 본 것”이라며 “역할에 부합한 수입대행 수수료를 지급했으며 금액은 낮은 수준이었다”고 강조했다.
롯데케미칼은 인도네시아 Chandra로부터 원료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구매대행사에게 과다한 금액을 지급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A사로부터 2012년 공급받은 물량은 6만8000톤으로 전체 원료의 0.9% 수준에 불과하며 구입액은 1060억원에 지나지 않아 구입 과정에서 200억-300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할 수 없는 구조”라고 반박했다.
신규사업을 하면서 홍콩법인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것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다.
롯데케미칼은 “사업을 추진하던 중 2008년 미국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금융경색으로 파트너가 사업에 소극적으로 임했고 2009년 높은 건설비용을 핑계로 취소해 400억원의 손해를 봤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롯데케미칼은 롯데그룹에서 영업이익 1위의 알짜 계열사로서 비자금 창구로 적극 활용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검찰이 롯데케미칼에 초점을 맞추어 강도 높은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롯데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의 초점은 매출액 1위이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롯데쇼핑보다 가장 큰 영업이익을 창출한 롯데케미칼 쪽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롯데그룹은 검찰 수사의 영향 등으로 2016년 당기순이익 1조원을 달성하지 못하고 직원 수도 감소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