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은 신격호 총괄회장, 신동빈 회장 오너 일가의 소환조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파악된다.
검찰은 롯데그룹 비리와 오너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하는 가운데 6월20일 롯데케미칼 전 임원을 긴급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롯데케미칼 전 상무 김 씨는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돼 조사를 받던 가운데 긴급 체포됐으며, 현재 이직했으나 롯데케미칼 비리와 관련해 조직적인 증거인멸 과정에 개입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6월10일과 6월14일 2차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롯데 임직원들을 줄줄이 불러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주로 실무진을 소환하고 있지만 조만간 조사대상을 임원급으로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으며, 6월25일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 이후 오너 일가에 대한 소환조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검찰 소환조사는 인수·합병(M&A) 등 계열사의 대형사업 방향을 제시하고 조율해온 본사 정책본부 인사들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팀장급 이하 실무진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당장 정책본부 이인원 정책본부장(부회장), 소진세 대외협력단장(사장), 황각규 운영실장(사장) 등에 대한 소환이 시작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언론에서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M&A 및 신규사업 등을 관할한 황각규 사장의 소환이 불가피한 것으로 파악된다. 롯데그룹의 2인자인 이인원 부회장, 대관·홍보 등을 전담해온 소진세 사장 등도 각종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기는 마찬가지이다.
신격호 총괄회장, 차남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장남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장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등 오너 일가에 대한 소환조사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본사 전문 경영인 상당수와 오너가 한두명은 검찰에 직접 소환될 가능성이 큰 것 같다”며 “신격호, 신동주, 신동빈 세 부자는 앞으로 수사 진행과정에서 한국·일본 롯데 사업영역, 사업이 결정된 시점 등에 따라 누가 최종 결정권자인지 확실히 가리기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하나 기자>
종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