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대표 한병로)은 가습기살균제 원료의 독성물질에 관한 설명이 내수용과 수출용에 따라 상이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SK케미칼은 가습기살균제 원료의 독성물질 정보를 작성하면서 수출용 영문판에만 제대로 된 독성값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가습기살균제 원료물질인 「SKYBIO 1125」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국문판과 영문판을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르게 작성된 점을 확인했다고 7월19일 밝혔다.
SKYBIO 1125는 흡입 시 폐질환을 유발하며 가습기 살균제 원료로 수백명의 피해자를 낳은 참사의 주범인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와 염화나트륨을 배합해서 만든 혼합 화학물질이다.
SK케미칼은 2011년 1월 해당물질에 대한 국문 MSDS를 작성하면서 일부 생태독성 및 피부 독성값을 누락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미 의원은 “영문 MSDS에는 독성값이 표시돼 있으나 9년 먼저 작성된 국문판에는 고의로 포함시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SK케미칼은 해당물질의 생태독성과 관련해 국문판에서 물벼룩의 독성값을 리터당 1mg으로 기재했으나 영문판에서는 0.42mg로 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판은 해당물질의 독성값이 실제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기재돼 있었으며 영문판에는 물벼룩 외에도 송사리와 조류의 생태독성자료를 함께 표기한 반면 국내자료에는 관련 내용이 없었다. 또 영문판에 표기된 생태독성값도 국내 유독물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SK케미칼은 해당물질의 피부독성과 관련해 국문판에 「자료 없음」이라고 표시했으나 영문판에서는 「LD50(rat)=8000mg/kg」이라는 제대로 된 독성값을 표시했다.
영문판에 제시된 독성값은 실험쥐의 개체수 중 절반이 죽을 수 있는 수준으로 국내 유독물 기준은 초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당시에도 샴푸, 물티슈 등 생활화학용품에 해당물질을 원료로 다량 공급하면서 피부독성값을 표기하지 않은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SK케미칼은 “의도적으로 MSDS를 다르게 표시할 이유가 없다”며 “국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작성되는 국문 MSDS와 수출국 등에 따라 달라지는 영문 MSDS가 완전히 같을 수는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생태독성값이 절반으로 잘못 표기된 것과 관련해서는 “24시간을 조건으로 한 실험이었는데 48시간으로 잘못 표기했다”라고 주장했다.
이정미 의원은 “독성값을 절반으로 낮춘 것은 고의적인 조작이 아니라면 불가능하다”며 “독성정보가 달랐다는 것만으로도 간접살인 행위”라며 검찰수사를 촉구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