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화학기업들이 전기자동차(EV) 시장 확대에 맞추어 한국공장 증설에 나서고 있다.
9월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Sumitomo Chemical(SCC)은 대구공장에 200억엔(약 2200억원)을 투자해 LiBS(Lithium-ion Battery Separator) 생산능력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계획보다 증설시기를 2년 앞당겨 2018년 중반까지 생산능력을 EV 50만대에 공급이 가능한 4억평방미터로 4배 확대할 방침이다.
SCC는 테슬라(Tesla)의 EV 탑재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파나소닉(Panasonic)에게 LiBS를 공급하고 있으며 테슬라가 소형 EV 「모델3」의 주문 폭주로 생산능력을 2018년 50만대, 2020년에는 100만대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LiBS 증설을 결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Toray도 200억엔을 투입해 국내 절연재 생산능력을 70% 가량 확대할 계획이다.
Toray는 LG화학, 파나소닉에게 LiBS를 공급하고 있으며 증설이 완료되면 절연재 생산능력은 5억평방미터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파악된다.
Asahi Kasei Chemicals(AKC)도 2020년까지 절연재 생산능력을 2배로 늘릴 예정이며, Mitsubishi Chemical (MCH)은 전해액 생산 효율화를 위해 생산거점 집약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 IHS Automotive에 따르면, 글로벌 EV 판매량은 2015년 35만대에서 2025년 256만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iB 소재 시장규모도 EV 시장 성장에 힘입어 2020년 2.4배 성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글로벌 LiB 소재 시장에서는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이 공세를 강화하고 있으나 자동차용 절연재 등은 안전성이 중시되기 때문에 일본기업이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