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월9일 롯데케미칼과 포스코 공장이 위치한 여수·광양지역을 방문해 9월30일 발표한 철강·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후속조치 이행상황을 점검했다.
주형환 장관은 한국산업단지공단 여수·광양지사에서 한국석유화학협회장인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을 비롯한 6사 대표와 간담회를 열고 “공급과잉 품목들의 사업재편은 관련기업들의 사활이 걸린 문제로 선제 추진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9월 한화케미칼과 유니드의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기활법) 적용을 승인한데 이어 9월30일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면서 불과 1개월만에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사업재편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면서 “고부가제품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과 설비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요청했다.
롯데케미칼 허수영 대표는 “2018년까지 SSBR(Solution-polymerized Styrene Butadiene Rubber), 접착제용 소재 등 고부가제품 개발, 해외사업 확대, 공급과잉 품목 사업재편, 울산배관망 사업 등에 총 2조원 가량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표적인 공급과잉 품목인 PTA(Purified Terephalate Acid) 생산기업 1곳도 기활법 신청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형환 장관은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과의 면담도 가졌다.
주형환 장관은 “하이스틸이 기활법 적용 승인을 받은 이후 대표적인 철강 대기업도 노후설비 매각과 고부가 투자에 대한 기활법 신청을 준비하는 등 철강기업들의 사업재편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권오준 회장은 “포스코는 후판 수요 급감에 대응해 고급 후판의 비중을 늘리는 방식으로 후판 생산능력을 조정하는 한편 조선산업과 비조선산업 수요에 따라 1개 라인의 가동중단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021년까지 경량 소재 연구개발(R&D)과 설비투자에 약 43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