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경(대표 고광현)이 2017년 상반기부터 판매하는 생활화학제품의 전체 성분을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생활화학제품 공급기업에게 생산제품에 대한 전체 성분 공개와 안전성 정보를 요구하는 「팩트 체크 캠페인」에 따라 애경과 클라나드가 전체 성분을 공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11월9일 가습기 살균제 국정조사 대상기업 12개를 대상으로 모든 생활화학제품의 전체 성분 공개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으나 애경, 롯데쇼핑, 다이소아성산업, 클라나드 4곳만이 답변을 보내왔으며 나머지 홈플러스, 이마트, 홈케어, 코스트코코리아, 제너럴바이오, 산도깨비, 헨켈홈케어코리아, GS리테일로부터는 답변을 받지 못했다.
애경과 클라나드는 2017년 상반기 판매하는 생활화학제품 전체 성분을 포장지에 기재하거나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애경은 “화학제품 전체 성분의 명칭 기준이 통일되지 않아 소비자 혼선이 우려되므로 환경부의 화학성분 사전 및 전체 성분 기재 가이드라인이 공표된 뒤 기재 예정”이며 “공표가 지연되면 2017년 1월 안에 1차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습기살균제 「엔위드」의 수입기업인 클라나드는 “당사가 수입, 판매하는 생활화학제품에 대해서는 전체 성분을 공개할 예정”이며 “수입제품의 특성상 적용 소요기간이 2-3개월 가량 소요될 수 있다”고 답했다.
롯데쇼핑과 다이소아성산업은 판매하는 모든 생활화학제품의 전체 성분을 공개할 수 없다는 답변을 보내왔다.
롯데쇼핑은 요청 자료가 소비자에게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환경부를 통해 받으라고 회신했고, 다이소아성산업은 생활화학제품 성분은 생산, 수입자의 영업비밀에 해당되므로 전체 공개할 수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연합 관계자는 “가습기 살균제 참사는 전체 성분 등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사건”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임에도 답변이 없거나 공개를 꺼리는 곳은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 알 권리에 대한 무시와 무관심, 윤리적 경영을 포기한 것이라고 판단된다”고 비판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