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Para-Xylene)는 중국이 대규모 증설에 나섬에 따라 수출 위축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Rongsheng 그룹이 2020년까지 1000만톤 상당의 P-X 생산설비 신증설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800만톤은 기존설비를 증설하고 200만톤은 신규 플랜트를 건설할 예정이다.
Rongsheng은 세계 최대급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1500만톤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으며 원활한 원료 공급을 위해 P-X 증설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은 안전사고, 환경문제 등을 이유로 P-X 증설에 소극적이었으나 2016년부터 관련 규제가 강화됐고 민간기업의 정제산업 진입이 허용됨에 따라 Rongsheng을 시작으로 증설 움직임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P-X 생산능력이 2015년 1440만톤에 불과했으나 2017-2020년 Rongsheng과 함께 CNOOC(China National Offshore Oil) Huizhou 85만톤, Sinopec Zhejiang 400만톤, Hengli 200만톤, Sinopec 160만톤, Sinochem 160만톤 등 최소 7건의 신증설 프로젝트가 예정돼 있다.
수요는 약 2200만톤으로 1165만톤 가량을 수입해 충당하고 있으나 Rongsheng의 신증설만으로 완전 자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수입을 줄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P-X 생산능력은 SK이노베이션 280만톤, S-Oil 185만톤, 한화토탈 170만톤, GS칼텍스 135만톤, 현대오일뱅크 118만톤, 롯데케미칼 80만톤 등 586만톤으로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 수출비중이 92%로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기업들은 P-X 수출이 PTA의 전철을 밟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PTA 생산기업들은 중국 수요 신장에 맞추어 생산능력을 확대했으나 중국의 자급률 상승과 반덤핑관세를 통한 무역장벽에 막혀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됐으며 정부로부터 구조조정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PTA 중국 수출은 2011년 302만2278톤에 달했으나 Rongsheng이 자회사 Yisheng Petrochemical을 통해 대규모 증설을 진행하며 자급률 높이기에 앞장선 영향으로 2012년 267만9507톤, 2013년 174만4680톤 2014년 67만4355톤, 2015년 32만56톤으로 격감했으며 2016년 1-9월에도 6만6687톤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 관계자는 “대부분의 석유화학제품들은 생산능력이 국내수요 이상으로 공급과잉 상태”라며 “특히, 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아 유럽, 북미 등으로 수출처를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유럽 및 북미도 한국산 석유화학제품에 대해 반덤핑 제재를 강화하고 있어 수출처 확대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중장기적인 생존을 위해 정부와 생산기업들이 같이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