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접착제, 광경화성 수요 주목하라!
친환경성‧자동화‧생산성 우수해 채용 확대 … 코스트 절감은 극복해야
화학뉴스 2016.12.16
광경화성 점‧접착소재는 열경화성을 대체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산업교육연구소(대표 김성의)가 2016년 12월16일 주최한 「2017년 친환경‧고기능성 점‧접착소재 기술개발 및 시장동향과 적용사례 세미나」에서 한국화학연구원 김영철 전문위원은 「광경화성 친환경‧고기능성 점‧접착소재 기술개발 및 시장동향과 적용사례」발표를 통해 “광경화성 점‧접착소재는 범용수지를 사용해 원료 확보가 용이하고 자동화‧생산성이 뛰어나 열경화성 소재를 대체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광경화는 광을 이용해 표면을 처리‧가공하는 기술로 경화막의 특성에 따라 코팅, 접착, 성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점‧접착제는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이 요구돼 수성타입이 부상했으나 고기능성 반응에 기술적인 한계가 드러남에 따라 최근에는 광경화성 등 하이솔리드(High-Solid) 타입으로 관심이 전환되고 있다. 하이솔리드타입은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한 저VOCs제품으로 친환경성이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며 무용제형인 솔리드 100% 타입도 신발, 자동차용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광경화성 점‧접착제는 광 조사장치 및 경화시스템이 요구돼 열경화성보다 기술이 높고 가격도 비싼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자동화 및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해 채용이 확산되고 있다. 가전, 건축,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 가운데, 특히 광통신부품, 콘덴서, 복층유리 등 전자‧전기소재용이 전체 수요를 견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김영철 전문위원은 “광경화형 점‧접착소재는 친환경적이고 안정성이 높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기존의 열경화성 기술과 병용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현섭 기자> <화학저널 2016/12/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점/접착제] 점‧접착제, 식물 베이스로 전환… | 2022-01-06 | ||
[점/접착제] 점‧접착제, 수지 조합범위 확대 | 2016-12-07 | ||
[점/접착제] 점‧접착제, 기술 트렌드를 주목하라! | 2016-04-28 | ||
[계면활성제] 점‧접착제, 태양전지가 성장 “견인” | 2014-08-19 | ||
[인사/행사] 고기능 점‧접착제 기술 세미나 개최 | 201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