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석유화학‧철강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5000개를 구축한다.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등 5개 부처 합동으로 「튼튼한 경제」 주제 아래 2017년 연두 업무보고를 실시했다.
산업부는 보고에서 「수출 플러스 전환」, 「구조조정 가속화 및 4차 산업혁명 대응」, 「중소·중견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및 소상공인 활력 제고」, 「에너지 안전 및 친환경적 수급기반 구축」 등 4대 핵심분야 9대 중점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출액 1000만달러 이상 80개 소비재 생산기업을 집중 지원해 글로벌 매출 1조원 브랜드를 5개 창출하고 지적재산권·소프트웨어 등 9개 서비스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액션플랜을 수립하는 등 서비스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수출전문위원(PM)을 200명에서 250명으로 확대하고 지자체 수출 지원기능을 강화해 앞으로 5년 동안 3만5000개 내수기업의 수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조선·철강·석유화학 등 공급과잉이 심각한 산업은 속도감 있는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을 활용하거나 스마트공장 보급을 확대해 선제적 사업재편 및 제조혁신 노력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은 2016년까지 2800개 구축한 상황이며 앞으로 최종적으로는 5000개까지 늘릴 예정이다.
또 스마트공장 운영기업 가운데 500사를 선정해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을 접목함으로써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제고하는 「클린에너지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12대 신산업 중심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서는 규제 개선, 집중 지원, 융합 플랫폼 구축, 초기시장 창출 등 4가지 정책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기자동차(EV), 자율주행 자동차, IoT(Internet of Things) 가전 등은 2015년 마련한 대책을 구체화 및 지속 보완하고 차세대 반도체, 유통, 3D프린팅 등은 2017년 상반기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