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 LS산전이 세계 100대 혁신기업에 선정됐다.
Clarivate Analytics는 국내 3사를 포함해 특허 경쟁력과 기술 영향력에서 앞선 혁신기업 100곳을 1월11일 발표했다.
세계 100대 혁신기업은 2011년부터 매년 특허 출원규모, 특허 승인 성공률, 적용 범위, 발명의 영향력 등을 분석해 선정한다.
삼성전자는 하드웨어와 전자기기, LG전자는 가전, LS산전은 에너지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6년 연속 100대 혁신기업에 선정됐다.
미국은 구글(Google)과 아마존을 포함해 40사, 일본 34사, 프랑스 11사가 100대 혁신기업에 선정된 가운데 한국은 종합평가에서 3사만이 선정돼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제조·자동차·가전·전자 분야에서 미국과 대등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은 통신장비와 통신기기 분야의 화웨이(Hwawei) 1개사만이 올라 아직까지는 특허 경쟁력이 약하고 한국처럼 추격형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부에서는 서구 중심 기준으로 평가해 중국의 기술력 급부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은 제약·의학·제조·항공·자동차 등 첨단 4차 산업혁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에서는 1곳의 혁신기업도 배출하지 못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투자를 집중한 소프트웨어, 통신 분야에서도 혁신기업을 배출하지 못했다.
분야별로 전자기기 29곳, 제조·의료기기 15곳, 자동차와 화학이 각각 9곳, 7곳으로 전자분야가 가장 많은 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혁신기업들은 특허 출원 규모를 줄인 반면 특허 승인 성공률을 높이는 전략적 변화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혁신기업들은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하면서 발명품을 상업화하는 과정에서 양보다 질에 중심을 두고 있다.
캐논(Canon), 히타치(Hitachi), 제너럴 일렉트릭(GE)은 의료장비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반면, 구글은 자율 주행차동차에, 아마존은 드론 기술에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100대 혁신기업들은 2015년 4조달러 이상의 수익 중 R&D 분야에 2270억달러를 지출해 S&P가 선정한 100대 기업보다 평균 9.1% 이상 투자했다. <배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