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5년까지 스마트 공장을 3만개까지 늘리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스마트 제조혁신 비전 2025」는 정책 방향으로 ▲스마트 공장 보급목표 2025년 3만개로 확대 ▲선도모델 스마트 공장 1500개 구축(2016년 기준 45개) ▲R&D(연구개발) 집중지원(2020년까지 2154억원) 및 시장 창출(2조5000억원)을 통한 스마트 공장 기반산업 육성 ▲스마트 공장 운영 창의융합형 인재 4만명 양성 등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스마트 공장을 당초 2020년 1만개에서 2025년 3만개로 확대하기 위해 2018년부터 자발적으로 스마트 공장을 구축한 곳에 대한 인증제도를 신설한다.
또 대기업 협력기업 인증 호환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민간 보급·확산을 촉진하며 스마트 공장 협약보증 대출 기관 및 대상을 확대해 자발적 구축비용 부담을 완화할 방침이다.
스마트 공장 협약보증 대출은 담보가 부족한 곳에 대한 자금 지원과 기존 보증대출 보증료를 0.4%p, 이자율을 1%p 낮추는 등 금융비용 경감을 통해 민간의 스마트 공장 투자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또 밸류체인 내에서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산업별로 대기업의 협력기업 지원을 유도할 방침이다.
대기업 연계 협력기업 스마트 공장을 ▲2017년 전자‧자동차‧철강 3개 산업에서 500여개 ▲2018-2020년 기존 3개 산업에 화장품‧전기‧석유화학‧디스플레이‧방산을 추가한 8개 산업에서 1500개 ▲2021-2025년 에너지‧기계‧패션‧중공업 등을 추가해 10개 이상 산업에서 2500개 등 4500개 이상으로 보급‧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2025년까지 1500개 선도모델을 구축해 스마트 공장의 고도화에 주력한다.
공장별 전담 스마트화 관리자를 활용한 스마트화 종합컨설팅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를 유도하며 산업별 코디 선발 및 인력을 현재 173명에서 2025년 500명으로 늘린다.
또 빅데이터, 스마트 공장용 센서, 협업로봇 등 유망분야에 2020년까지 2154억원 상당의 R&D를 집중 지원해 기술역량을 확보하고 스마트 공장 보급을 통해 국내 기반산업에서 2018-2025년 2조5000억원 수준의 시장을 창출할 방침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스마트 공장 구축은 중소‧중견기업의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며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수 있도록 스마트 제조혁신 비전 2025, 스마트 공장 3만개 이니셔티브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보급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는 한편 대기업 연계 협력기업 지원, 금융지원 확대 등 민간의 자발적 구축을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