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shin Steel(NSC)이 사출성형 및 열 압착을 통해 수지와의 직접 접합을 가능케 하는 특수강판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NSC는 자동차 등의 멀티 머테리얼화 흐름에 따라 금속과 수지와의 복합화 니즈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독자 기술로 수요처 니즈에 적극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중량 경감 및 일체 성형에 따른 제조 코스트 절감 등을 위해 금속부품의 수지화 뿐만 아니라 이종소재 복합화를 통한 고기능‧고부가가치화 활동이 본격화하고 있다.
도요타(Toyota) 자동차의 「Lexus LC」가 멀티 머테리얼화를 통해 강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면서 경량화를 달성하는 등 자동차 분야를 비롯한 개발 현장에서는 기존의 소재 대체에서 멀티 머테리얼화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이종소재 접합 기술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금속과 수지의 직접 접합은 접착제 및 나사 등의 부자재를 활용하지 않고 열 압착 및 사출성형만으로 접합하는 기술이다.
공정수 절감 및 접합부의 봉지성 향상 등 코스트‧품질 개선이 가능하며 특수 표면처리에 따라 금속 소재 표면에 나노 레벨로 굴곡을 만들어 수지를 주입한 후 고화시키는 앵커 효과를 응용한 습식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수 강판은 독자 개발한 표면개질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열을 통해 강판 표면의 개질층과 수지가 화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직접 접합을 실현하고 있으며 열가소성이면 기본적으로 범용수지에서 EP(Engineering Plastic), 슈퍼 EP까지 적용 가능하다.
기재는 자체 생산하는 각종 도금 강판 및 스테인레스 강판 가운데 선택할 수 있으며 습식공법이 전처리를 필요로 하는 반면 일반 강판과 마찬가지로 코일 공급되는 소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산화 및 가압에 따른 표면 성상 열화가 없고 개질층 상태를 보장할 수 있으면 냉간 프레스 가공도 가능하며 도금 강판 등을 기재로 하기 때문에 비접합부의 내식성이 뛰어나다.
또 열 압착에 관해서는 가열‧냉각 방법을 포함한 솔루션으로서 제안하는 것도 가능하며 대면적 접착을 굴곡 없이 시행할 수 있다.
NSC는 1단계로 자사제품을 기재로 PP(Polypropylene) 및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PPS(Polyphenylene Sulfide) 등과의 접합용 수요 확보에 나서고 있으며 자동차 및 가전, 건축자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박 및 형물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접합 강도 및 가공 조건 등에 따른 개질층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앞으로 개별 니즈에 대응하면서 기술 기반을 확충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바이오 수지 시장도 개척해 나갈 계획이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