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다운스트림 시황이 좋지 않아 한국산 합성섬유 수입이 대부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AN(Acrylonitile) 수입이 3월 2만5529톤으로 증가했으나 4월 2만2647톤, 5월 2만1977톤으로 감소했고 한국산 수입은 3월 9996톤에서 4월 1만4002톤으로 증가했으나 5월 5002톤으로 다시 감소했다.
AN은 환경규제로 다운스트림이 가동 중단되며 중국 수입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중국산 AN이 코스트 경쟁력이 뛰어나 한국산 수입이 급감한 것으로 파악된다.
CPL(Caprolactam)은 3월 2만9868톤에서 4월 1만2664톤으로 급감했으나 5월 2만3718톤으로 2만톤 이상을 회복했고 한국산 수입은 4월 또다시 0톤을 기록한 뒤 5월 608톤으로 증가했다.
CPL은 유럽, 미국에서 수급타이트가 발생해 유럽산, 미국산의 아시아 유입이 줄어들어 한국산 수출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중국 생산량이 2월 21만톤으로 전월대비 4만5000톤 증가하며 2-4월 한국산 수출이 급감했다.
하지만, 4월 말부터 정기보수가 잇따르며 5월에는 또다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MEG(Monoethylene Glycol) 수입은 3월 71만9626톤에서 4월 65만5241톤으로 6만4385톤 감소한 뒤 5월에는 66만8261톤으로 증가했고 한국산은 3월까지 4만722톤으로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4월 2만317톤으로 급감한 뒤 5월 3만1368톤으로 회복했다.
MEG는 4월에 중국 항구의 MEG 재고가 62만9000톤 수준으로 높았고 다운스트림 생산기업들이 시장 침체 및 원료가격의 하향화에 대응해 적극적으로 구매에 나서지 않아 한국산 수입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5월20일 국제유가가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53.61달러로 3달러 가까이 급등한 가운데 중국 동부지역의 재고량이 60만톤으로 1만1000톤 줄어들어 가격 추가 하락을 기대하던 무역상과 수요기업이 구매를 서두르며 5월 중국 수입량과 한국산 수입량이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수입은 1-2월 3만톤 이상을 기록했으나 3월 2만8053톤으로 감소한 뒤 4월 2만7445톤, 5월 2만7086톤으로 계속 감소했고 한국산 수입 역시 3월 6518톤이었으나 4월 5122톤, 5월 5332톤으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은 Zhejiang Yisheng Petrochemical이 5월 초 마진 악화로 Ningbo 소재 65만톤 플랜트를 가동 중단하고, 220만톤 플랜트를 정기보수함에 따라 PTA 생산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운스트림 시황 악화로 수입량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임슬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