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대표 이우현)는 연이은 화학물질 누출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OCI 군산공장은 2015년 6월22일 배관 밸브 균열로 사염화규소가 유출돼 공장 작업자와 주민, 농작물, 가로수가 피해를 입었으며, 누출사고 당시 사고를 은폐하고 사고해결 골든타임을 넘겨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또 2017년 6월24일에도 동일한 누출사고가 발생했으며 1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7월17일 같은 설비라인에서 또한번 유출사고가 일어났다.
전북환경운동연합과 발암물질 없는 군산만들기 시민행동은 “OCI의 반복적 사고발생은 대형사고의 전조”라며 “전면적인 진단과 함께 근본적인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7월25일 성명서를 통해 촉구했다.
6월24일 사고 직후 관계 기관들이이틀에 걸쳐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재발방지 행정조치가 아닌 14개 개선사항을 제시하는데 그친 바 있어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OCI 군산공장은 2년 동안 3번이나 동일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사고 재발을 우려했다.
이어 “OCI는 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반복됨에도 불구하고 군산시나 환경청에 신고하지 않았고 인근 주민의 언론제보로 외부에 알려졌다”며 “이는 안전 불감증을 넘은 범죄행위”라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은 OCI를 상대로 누출 사고의 대책 마련을 위해 「공정 및 설비에 대한 전면적 진단과 개선책 마련 강력 권고」, 「행정 당국의 2015년 화학사고 조치명령 계획과 처리결과」, 「2017년 6월 누출사고 조치결과 공개」, 「환경과 안전관리 강화를 기업경영의 최우선 배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유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