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화학제품을 겨냥한 각국의 수입규제 공세가 잠시 주춤해졌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을 상대로 한 각국의 수입규제 신규조사 개시는 7-8월 연속 1건도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산에 대한 수입규제 신규조사 개시건수는 2017년 1월 0건을 기록한 후 2월 1건, 3월 2건, 4월 5건, 5월 5건, 6월 8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각국이 한국을 상대로 시행 혹은 조사하고 있는 수입 규제건수도 8월31일 기준 총 187건으로 전월대비 3건 줄어들었다.
하지만, 시장 관계자들은 수입규제 공세가 주춤해졌다고 보호무역 기조에 변화가 생겼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지적하고 있다.
제현정 무역협회 통상협력실 차장은 “수입규제 동향은 중장기적인 추이를 살펴보아야 흐름을 진단할 수 있다”며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흐름에 변화가 생겼다고 판단하기 아직 이르다”라고 강조했다.
화학제품을 비롯해 한국산 생산제품들은 2017년 들어 인디아,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이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함에 따라 수입규제 대상으로 자주 이름을 올렸다.
2017년 1-8월 전체 수입규제 가운데 반덤핑 조사는 145건으로 78%를 차지했으며, 반덤핑·상계관세 동시 부과가 7건,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 조치)는 35건에 달했다.
수입 규제국은 인디아가 31건으로 1위, 미국과 중국이 각각 30건과 14건으로 뒤를 이었으며, 품목별로는 철강·금속에 대한 수입규제가 86건으로 가장 많았고 화학이 53건이었다.
특히, 석유화학제품은 2017년 8월 기준 총 12개국으로부터 32건에 달하는 수입규제 및 관련 조사를 받고 있다.
국가별로는 인디아가 반덤핑 규제 8건, 반덤핑 조사 3건으로 전체 수입규제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중국이 규제 6건, 조사 1건으로 뒤를 이었으며 주요 수출품목인 SM(Styrene Monomer)에 대한 반덤핑조사까지 실시하고 있어 타격이 우려된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