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단지는 취약한 전력 공급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으나 주민 반발에 부딪쳐 실행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된다.
대산단지는 대산변전소의 개별선로를 통한 단일 전력 공급체계를 갖추고 있어 국가 차원에서 변전소·선로 다중화로 전력 안정성을 확보한 여수단지, 울산단지 등에 비해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2006년 3월 변전소 변압기 고장으로 입주기업 2사가 104억원의 피해를 입었고, 2017년 여름에는 수차례 정전이 발생해 전기 공급이 끊기는 등 문제가 빈번히 발생해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여러 차례 강조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가 2016년 3월 생활폐기물, 폐합성수지, 폐고무류 등으로 만든 고형화연료(SRF)를 소각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사업자인 대산파워를 통해 우선 9MW 상당의 전기 생산을 허가했으며 8월에는 24.9MW로 증설 변경을 허가한 바 있으나 주민 반대에 부딪쳐 본격화되지 못하고 있다.
서산시와 지역 주민들이 대산단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공해, 소음, 악취를 이유로 지속적으로 민원을 제기하는 등 설비 증설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최근 실시한 대기질 공동 조사에서 발암물질인 벤젠(Benzene) 등 특정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높다는 내용이 공개되면서 부정적인 여론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권혁문 서산시 부시장을 비롯한 관계부서 공무원들이 산업부를 방문해 대산파워에 대한 발전사업 허가를 전면 재검토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혁문 부시장은 “대산파워 사업으로 얻는 이익보다 환경오염, 대기질 악화로 입는 피해가 더 크다는 점에서 원점에서 다시 검토해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산단지 입주기업들은 산업단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전력 공급체계 강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대산단지에 입주한 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 LG화학, 롯데케미칼, KCC 등이 2020년까지 총 7조5800억원을 투입해 증설을 실시할 예정이어서 전력부족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규모 투자로 2020년까지 최대 940MW 상당의 전력 수요가 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여수단지, 울산단지는 발전소가 4-5개 있고 6개의 변전소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나 대산단지는 1개의 발전소와 1개의 변전소에 의지하고 있어 새로운 발전소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