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대표 정몽진‧정몽익)가 석유화학 플랜트용 내화 페인트 시장에 진출한다.
KCC는 석유화학 플랜트용 내화도료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세계 기준에 맞춘 각종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9월28일 발표했다.
최근에는 석유, 천연가스 등 자원을 해양에서 채굴하거나 생산·저장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내화성 및 내구성을 극대화시킨 Offshore 특화형 내화 페인트 「Firemask 3200」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Firemask 3200은 유류화재 조건규격 및 국제해사기구(IMO)의 화재방지 조건(FTP Code)에 적합한 내화성 및 내구성을 갖추었으며 노르웨이 해양산업규격(NORSOK) M-501 인증, Lloyds, DNV 등 글로벌 선박인증 협회의 유류화재에 대한 내화 인증도 취득했다.
아울러 석유, 천연가스 자원을 육지에서 채굴하거나 생산‧저장하는 Onshore용으로 특화된 내화 페인트도 「Firemask 3500」를 통해 함께 공개했다.
Firemask 3500은 미국 최고의 안전시험기관인 미국 보험 안전 협회 안전시험소(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국내 최소 도막 두께로 UL1709 인증을 받았다.
Offshore용 내화 페인트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해 세계적으로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5사 정도가 개발에 성공했고 1-2사만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KCC는 Firemask 3200과 Firemask 3500을 정유공장, LNG(액화천연가스) 생산·보관설비, 석유화학 플랜트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특히, 석유화학 플랜트는 유류와 연관된 화재 발생비율이 높고 유류화재가 발생하면 5분만에 1000℃까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폭발을 수반하기 때문에 내화 페인트에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고 있다.
KCC 관계자는 “플랜트용 내화 페인트 개발로 일반건축물용 시장 뿐만 아니라 플랜트용 시장에서도 글로벌 탑 클래스의 기술 보유기업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다지게 됐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연구개발(R&D)로 화재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