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대표 박성욱)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SK하이닉스는 미국계 사모펀드 Bain Capital과 일본의 정책투자은행 및 산업혁신기구, 애플(Apple), Dell 등과 구성한 컨소시엄을 통해 Toshiba의 플래시메모리 자회사 Toshiba Memory(TMC) 인수에 성공했다.
인수액은 총 20조원으로 SK하이닉스는 4조원 가량을 출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5위에 불과했으나 2위 Toshiba를 인수함에 따라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은 삼성전자가 점유율 38.3%로 1위를 달리고 있고 Toshiba 16.1%, 미국 Western Digital 15.8%, Micron 11.6%, SK하이닉스 10.6%가 뒤를 잇고 있다.
다만, 현재 계약내용으로는 10년 동안 TMC의 기밀정보에 접근할 수 없으며 의결권도 상장 후 15%만 보유할 수 있는 등 제약이 상당한 것으로 파악된다.
의결권은 3조원 가량을 출자한 Toshiba와 2조7000억원을 출자한 Hoya 등 일본기업들이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다.
하지만, 컨소시엄의 주체인 Bain Capital 측이 중장기 계획으로 TMC를 반도체기업에게 매각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아 SK하이닉스에게도 기회가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만약 Bain Capital이 SK하이닉스에게 TMC를 매각한다면 일본은 반도체 메모리 산업이 모두 소멸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D램 메모리 산업은 Elpida Memory의 매각으로 소멸된 상태이며, TMC가 플래시메모리 사업을 영위하며 유일한 반도체기업으로 자리하고 있다.
다만, 의결권을 쥐고 있는 일본기업들이 반도체산업의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 SK하이닉스에게 매각하는 것을 반대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