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종합화학(대표 임종훈‧김희철)이 농촌 태양광 사업에서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2월20일 발표한 「재생에너지3020 이행계획」에 따르면, 현재 5.7GW 수준인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이 2030년 36.5GW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13년 동안 모두 30.8GW 상당의 태양광발전 설비를 확충하는 것으로 신고리 5·6호기 원자력발전소의 발전용량이 2.8GW라는 점을 감안하면 새로운 원전 11개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파악된다.
산업부는 태양광발전 설비용량 1GW를 건설하는데 13.2평방킬로미터의 부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30.8GW를 확충하려면 406.56평방킬로미터 면적의 땅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단번에 많은 부지를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부는 다양한 장려정책으로 도시에 있는 자기주택에 태양광을 설치하거나 협동조합 등 소규모사업자 주도의 태양광사업, 농촌 태양광 사업 등을 제시하고 있다.
농촌 태양광 사업은 농업진흥구역과 관련한 규제를 완화해 태양광발전 설비 설치를 유도하겠다는 내용으로 현재 농촌 태양광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한화솔라파워가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한화솔라파워는 한화종합화학이 6월 자본금을 100% 출자해 세운 태양광부문 자회사로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을 주무대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농촌 태양광사업을 전담하는 조직을 만들어 농업인들과 연계해 농촌에 태양광발전소를 지어 태양광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가 에너지정책으로 농촌 태양광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은 만큼 앞으로 농업인 대상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차문환 대표는 농촌 연계형 태양광 사업과 관련해 “농업인들이 안정적으로 소득을 창출할 수 있고 정부의 에너지정책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이라며 “앞으로 전국적으로 대상지역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