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토탈(대표 김희철)이 석유화학 공정에 국내 최초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폰을 전면 도입한다.
방폭 스마트폰 전면 도입은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폭발 사고에 대한 가능성 자체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방폭 스마트폰 350대를 근무자들에게 지급하고 사용 안내 및 계몽 기간을 거쳐 3월부터 지정된 휴게시설, 사무실 등 안전지역을 제외한 대산공장 모든 공정지역에서 일반 휴대폰의 소지 및 사용을 금지할 예정이다.
한화토탈 관계자는 “그동안 일부기업이 PDA 등 현장 데이터 수집을 위한 모바일 전자기기를 도입한 적이 있으나 공장 내부에 구축된 무선통신망(P-LTE)을 기반으로 방폭 스마트폰을 도입하는 것은 국내 석유화학기업 가운데 첫 사례”라고 강조했다.
석유화학 공장은 현행법상 공정 구역 내에서 비방폭 전자기기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개인 휴대폰 역시 낙하, 충격 등으로 배터리 폭발 및 화재 가능성이 있어 자칫 대형사고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소지와 사용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 석유화학 공장은 수십년간 방폭 무전기에만 의존해 공정지역 업무 소통을 실시했으며 ICT(정보통신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도래 등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근무 시스템이나 업무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제한이 많았다.
한화토탈은 방폭 스마트폰 도입으로 근무자들과 공정지역의 안전을 더욱 강화하는 것은 물론 최신 ICT 기술을 이용해 설비 관리부터 빅데이터 수집, 근무지역 소통방식 개선까지 오랫동안 관습화돼 있던 석유화학공장의 일하는 방식 자체를 혁신해 업무 효율을 배가하는 1석 2조의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지대 작업자의 안전벨트 이중 착용 및 근무자 낙하 시 자동으로 에어백이 터지는 웨어러블(Wearable) 에어조끼 착용 의무화 등 현장 안전을 위해 여러 방안을 활용하고 있다.
2018년 2월에는 국내 최초로 국제표준인증 기관인 DNV GL의 국제안전등급심사(ISRS)에서 8등급을 획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ISRS는 안전, 보건, 환경, 품질, 공정 등에 걸쳐 경영시스템을 평가해 1등급에서 최고 10등급까지 부여하는 제도이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