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면섬유 같은 직물을 그래핀(Graphene)·탄소나노튜브를 섞은 용액에 담갔다 빼는 방식으로 압력과 변형 정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직물형 복합센서를 개발했다.
환원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결합한 연구가 핵심으로,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뤄진 육각형이 서로 연결된 관 모양의 신소재이다.
센서 크기는 1×3㎝ 정도이나 수십㎝까지 대면적으로도 제작 가능하고 디자인이나 크기에 제한이 없다.
재료 자체가 센서로 마치 천에 코팅하는 것과 같다. 염료를 코팅하듯 전도성 그래핀을 입혔기 때문이다.
고품질의 환원 그래핀 용액 연구는 한국화학연구원 안기석 박사팀이 진행했다.
센서는 얇으면서도 단단하고 땀이나 약품 등 화학적으로도 안정성이 뛰어난 편이며 세탁해도 문제가 없는 방수 특성까지 갖추었다.
연구진은 “탄소나노튜브의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 덕분에 10만번 이상 구부리거나 압력을 가해도 내구성에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제작한 센서를 면장갑에 붙여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제작에도 성공했다.
침대나 자동차 좌석 등에 장착해 생체신호를 읽으면 숙면 정도를 신호로 파악하거나 졸음 시 알람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가대하고 있다.
육상 운동선수의 유니폼, 장갑, 양말 등 스포츠의류 등에 센서를 장착해 스타트 모션 등 최적의 자세를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연구 성과는 2월8일 미국화학회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응용재료 인터페이스> 온라인판에 등재됐다.
논문 제1저자는 ETRI 김성준 박사이고 최춘기 박사는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으며 공동교신저자는 한국화학연구원 안기석 박사이다. 한국화학연구원 송우석 박사, ETRI 이윤식·민복기 박사, 과학기술연합대학원(UST) 슈브라 몬달 박사과정 학생이 연구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