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산 에탄(Ethane) 수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국내기업들과 비교되고 있다.
Satellite는 Energy Transfer Partners와 합작한 Orbit을 통해 텍사스 소재 20인치 파이프의 에탄 터미널을 건설하며 미국산 에탄을 적극 수입해 ECC(Ethane Cracking Center)를 가동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터미널에는 에탄 하루 80만배럴 냉장창고와 17만5000배럴 냉동창고를 건설한다.
Satellite는 Jiangsu 소재 ECC를 2020년 4/4분기 상업화할 계획이며 하루 평균 15만배럴의 미국산 에탄을 수입할 계획이다.
PDH(Propane Dehydrogenation)와 다운스트림 생산설비도 건설할 예정이어서 에탄 뿐만 아니라 프로판(Propane) 수입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 Private-Equity Firm Energy & Minerals Group(EMG)은 American Ethane(AEC)을 설립해 하루 48만배럴의 에탄을 수출할 계획이다.
AEC는 Nanshan Group이 건설하고 있는 Shandong 소재 에틸렌(Ethylene) 생산능력 200만톤의 ECC와 Ganergy Heavy Industry Group(GNG)이 건설하고 있는 Jinzhou 소재 에틸렌 200만톤의 ECC에 20년 동안 에탄을 공급하는 장기계약을 체결했다.
반면, 국내기업들은 에탄 수입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국내기업들은 NCC(Naphtha Cracking Center)를 가동하고 있어 에탄 수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 않다”며 “다만, GS칼텍스는 에탄 투입이 가능한 MFC(Mixed Feed Cracker)를 2019년 상업화함에 따라 에탄 수입에 관심이 높다”고 밝혔다.
GS칼텍스는 다양한 원료 수급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추진사항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허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