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Pont-Toray가 고기능 PI(Polyimide) 필름의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고성능화에 맞추어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용도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초박형 타입과 저열팽창 타입의 수요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최근에는 고속통신에 대응이 가능한 저유전타입도 개발해 샘플 출하에 돌입했다.
고기능 PI필름은 2020년부터 시작될 5G 시대를 타깃으로 하고 있다.
FPC용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자동차 탑재 분야에서도 수요가 신장하고 있으며 DuPont-Toray는 최첨단 영역에 특화된 성장전략을 펼쳐나갈 예정이다.
PI필름을 둘러싼 시장환경은 최근 크게 호전되고 있다.
주력 용도인 FPC용은 스마트폰에 자동차용 시장까지 추가되며 급성장하고 있고 스마트폰 고기능화를 타고 FPC용 뿐만 아니라 방열용 그래파이트시트 용도 역시 신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기능 유닛은 방열 니즈가 높고 수요 신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밖에 LiB(Lithium-ion Battery)용 내열 테이프 용도 등도 성장하며 2017년 시장성장률이 두자릿수 가까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18년 이후에도 성장세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FPC 용도는 시장 성장과 함께 앞으로 하이엔드제품의 확대도 기대되고 있다.
2020년 이후에는 5G 시대가 시작되면서 5G 대응기기가 개발됨에 따라 FPC용 PI필름에도 더욱 높은 수준의 기능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DuPont-Toray가 생산하는 두께 5마이크로미터 초박형 타입, 공법안정성이 우수한 저열팽창 타입 등도 5G에 대응하기 위한 그레이드이다.
초박형 타입은 채용영역을 확대시킴으로써 매출이 매년 2배 성장하고 있다.
5마이크로미터 그레이드 생산 뿐만 아니라 가공도 어려워 수요처가 편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며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저열팽창 타입은 액정TV에 채용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용 도입도 시도하고 있다.
5마이크로미터 그레이드는 SKC코오롱PI도 생산을 시도하고 있으며, 저열팽창 그레이드는 Toyobo가 2018년 유리기판과 동일한 공법안정성을 갖춘 PI필름을 상업화함으로써 진출할 예정이다.
5G 시대에 맞추어 다양한 신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DuPont-Toray는 차별화를 위해 저유전 타입도 개발했으며 액정폴리머(LCP) 필름에 가까운 저유전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접착층, 동박 등 FPC를 구성하는 다양한 영역에서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CP필름은 스마트폰의 안테나 용도로 수요가 신장하고 있으나 열가소성인 LCP보다 열경화성 PI를 채용하는 편이 공법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저유전 PI필름의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DuPont-Toray는 범용제품을 고기능제품으로 전환함으로써 고부가가치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