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이 국내 수출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8년 1-6월 누계 수출 동향 및 특징에 따르면, 상반기 통관 기준 전체 수출액은 2967억9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3% 증가했다.
주력 수출품목 가운데 증가율이 높았던 상위 5대 품목은 반도체가 42.9%로 1위였고 화장품 39.8%, 컴퓨터38.4%, 석유제품 34.3%, 정밀화학원료 34.3%가 뒤를 이었다.
특히, 반도체는 역대 최대 반기 수출실적인 612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석유화학 수출액은 249억6000만달러로 국제유가 및 수출단가 상승,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량 확대 등에 힘입어 반기 기준 최대 수출실적을 갱신했다.
석유제품은 2012년 561달러로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한 후 감소세가 이어졌으나 2017년부터 증가로 전환돼 2연 연속 30% 이상 성장했다.
유망 신산업도 수출시장 성장에 일조했다.
전기자동차(EV),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우주, 에너지신산업, 첨단 신소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등 유망 신산업 수출액은 390억1000만달러로 23.9% 증가했다.
유망 신산업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11.2%에서 2017년 12.8%, 2018년 상반기 13.1%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수출 증가율은 EV가 95.1%로 가장 가파른 신장세를 나타냈고 차세대 반도체 31.2%, 바이오헬스 28.7%, 첨단신소재 26.7%, 에너지신산업 16.7% 등도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EV와 바이오헬스는 현재의 추세를 유지한다면 연간으로도 각각 10억달러와 50억달러 수출을 처음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품목인 EV 및 ESS(Energy Storage System)용 LiB(리튬이온배터리), 고기능섬유 등 역시 사상 최대실적을 갱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흥시장 수출이 늘어난 것도 상반기 수출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주목된다.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 수출액은 2016년 144억7000만달러에서 2017년 172억달러로 늘었고 2018년 상반기는 86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중국 무역갈등 등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전체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특히 수출품목 다변화와 고부가가치화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