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기업들이 미국, 중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고전할 것으로 우려된다.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 Commission)가 중국산 태양전지판에 대한 수입제한 조치를 예정대로 9월 종료하기로 뜻을 모았다.
EU는 2013년 중국산 태양전지판에 최소수입가격(MIP)을 적용한 바 있다.
매년 태양광제품의 최소가격을 설정해 해당 가격 이하로 판매되면 최대 64.9%의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이며, 2017년 3월 18개월 연장했지만 2018년 9월부터 추가 연장 없이 종료하기로 했다.
유럽의 중국 규제책 소멸로 저렴한 중국산 유입이 다시 확산되면 한국기업들의 유럽시장 공략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중국산 유입 확대로 전체가격 하락이 이루어지며 장기적으로 현지 태양광 설치 시장이 커질 수 있다”라며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국내기업의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기업들은 이미 미국, 중국에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유럽에서도 악재에 직면하게 됐다.
미국에서는 2월부터 세이프가드 조치가 발효되며 태양광 셀, 모듈에 최대 30% 관세가 부과됐으며, 중국은 5월 신규 태양광 발전소 건설 제한 및 보조금 축소 정책을 발표해 수요가 격감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12%, 52%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태양광기업들이 영업실적에 바로 타격을 받았다.
한화케미칼 태양광 사업부문은 2/4분기 영업이익이 마이너스 43억원에 달하며 전분기대비 적자 전환했고, OCI의 베이직케미칼 부문은 영업이익이 41.6% 줄어들었다.
유럽 역시 글로벌 3위 시장이어서 국내기업 영업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통해 태양광발전 관련 예산을 늘리겠다고 발표하고 주택, 농가 등에 태양광 설치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5553억원을 편성했으나 국내 태양광 시장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안팎으로 미미해 내수 확대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악재를 상쇄하기는 힘들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