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이산화탄소(CO2) 환산 기준 6억9410만톤으로 전년대비 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이 87.1% 급증했으며 산업공정 7.4%, 농업 3.1%, 폐기물 2.4% 순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 증가는 저유가, 추운 겨울날씨 등에 따른 것으로, 석유정제는 8.1%(130만톤), 가정 6.0%(180만톤), 도로수송4.9%(440만톤), 화학은 3.8%(140만톤) 늘어났다.
반면, 반도체·디스플레이는 육불화황(SF6) 등 공정과정에 쓰이는 가스의 사용 감소로 오히려 배출량이 32.0%(230만톤) 감소했다.
철강은 석탄 소비 감소로 7.7%(780만톤) 감소했다.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2013년 6억9670만톤으로 정점을 기록하고 2014년 6억9090만톤으로 줄어든 후 2015년부터는 소폭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의 집약도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당 배출량과 1인당 배출량 지표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GDP당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460톤으로 2.7% 감소하며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GDP당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2013년 505톤, 2014년 484톤, 2015년 472톤으로 집계됐다.
1인당 총배출량은 2013년 13.8톤, 2014년 13.6톤, 2015년 13.6톤에 이어 2016년 13.5톤을 기록하며 최근 3년 동안의 감소 추세를 유지했다.
홍동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2013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가 둔화됐으나 기록적인 폭염과 석탄발전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17년 이후 배출량이 다시 증가할 수 있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