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우화인켐(대표 황인우)이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 시대와 함께 존재감을 확대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동우화인켐은 일본 Sumitomo Chemical(SCC) 자회사이며, 삼성전자가 2019년 출시할 폴더블 스마트폰 투명 PI(Polyimide) 공급기업으로 SCC를 선정함에 따라 시장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PI는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펴야 하는 폴더블 스마트폰 시대의 도래와 함께 그동안 강화유리가 사용됐던 디스플레이 보호용 커버윈도우 용도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우화인켐은 삼성전자 폴더블폰 서플라이체인에서 SCC로부터 투명 PI를 공급받고 하드코팅해 삼성전자에게 공급하는 작업을 맡고 있다.
하드코팅은 경도를 보완하는 작업으로, 두껍게 코팅할수록 경도는 높아지지만 접었을 때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두께와 경도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투명 PI가 유리처럼 매끈하면서 고급스런 느낌을 낼 수 있도록 질감을 결정하는 중요 공정이기도 하다.
동우화인켐은 그동안 디스플레이 핵심 부품인 편광필름과 컬러필터를 개발‧제조함으로써 반도체, 디스플레이 관련 분야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함에 따라 매출액이 매년 2조원을 넘고 있다.
폴더블폰 소재 사업에서는 투명 PI 하드코팅 기술 외에 터치 솔루션도 보유하고 있어 높은 경쟁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기반 폴더블 패널에 적용할 수 있는 터치 기술을 확보한 상태이며, 고해상도에 폴더블이 가능한 필름 타입 터치센서를 상용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삼성전자가 자사 폴더블폰에 터치 일체형 OLED를 채택해 동우화인켐이 터치센서까지 공급하지는 않으나 앞으로 폴더블폰 시장이 확대된다면 터치센서와 함께 하드코팅된 투명 PI까지 일체 공급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살려 경쟁기업을 추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폴더블 패널은 LG디스플레이, 중국 BOE, 비전옥스(Visionox), AUO 등이 개발하고 있으며 레노버(Lenovo), 오포(Oppo), 비보(Vivo) 등 단말기 생산기업들도 폴더블 디바이스를 만들고 있어 시장아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