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안전 규제 강화로 강제퇴출 … 일본은 R&D투자 확대
중국 정밀화학 관련기업들의 도태가 가속화되고 있다.
장기화되고 있는 정부의 환경·안전 관련 조사가 지방정부 단위로 더욱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 대응설비 설치 유무와 관계없이 업스트림(원료)을 생산하지 않는 정밀화학기업은 강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키고 있다.
중국은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 공해가 심각해짐에 따라 중앙정부가 2017년부터 환경·안전대책 사찰단을 전국 각지의 공업단지 등에 파견해 불시단속을 실시해왔다.
그동안 환경·안전대책 마련이 미흡했던 화학공장들이 강제 가동중단 명령을 받았으며 이후 대응설비를 마련한 곳들이 순차적으로 가동을 재개했으나 2018년부터 환경보호세 도입 등 부담이 가중되면서 중소기업이 많은 정밀화학을 중심으로 자금부족 때문에 사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중앙정부에 이어 지방정부까지 관할지역 내부에서 엄격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것도 정밀화학기업 도태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대응설비 마련 여부와 관계없이 업스트림부터 일괄 생산체제를 갖추지 못한 화학공장들은 무조건 가동을 중단시키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중동부 장쑤성(Jiangsu)의 롄윈강(Lianyungang) 소재 정밀화학 관련 산업단지에서는 가동 가능기업이 100사는 됐으나 최근에는 14사까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강제 가동중단 명령을 받은 다운스트림 전문기업들은 공장을 이전하지 않는 이상 가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산둥성(Shandong) 소재 정밀화학 산업단지도 상황이 비슷하며 일부제품은 급격한 수급타이트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졌다.
BIT(Benzisothiazolinone) 등 이소티아졸리논(Isothiazolinone)계 항균제는 수급이 타이트해지며 거래가격이 급등했으며, 마찬가지로 가격이 2.5배나 오른 니트로메탄(Nitromethane)은 현재 중국에서 생산할 수 있는 곳이 2곳에 불과한 상태이다.
중국 화학기업들은 환경·안전규제 강화가 지속됨에 따라 60%에 달하는 생산기업이 도태되고, 정밀화학은 중소규모에 특정제품만 생산하는 곳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금에 여력이 없는 곳이 많아 20%만이 생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일본 정밀화학기업들은 연구개발(R&D)을 확대하고 있다.
R&D를 적극 실시함으로써 일본 특유의 차별제품 생산을 강화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정밀화학 및 Specialty Chemical 생산 차질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PC Marketing Research가 정밀화학 24사를 대상으로 R&D 전략을 조사한 결과 2017년 연결 기준 R&D 투자액은 총 1523억5400만엔으로 전년대비 0.9% 늘어 5.9% 증가한 2015년 이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1사 평균 비용은 63억4800만엔을 나타냈다.
매출액에서 R&D투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4.8%, 2016년 4.9%에서 2017년 4.6%로 하락했으나 매출액 변동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되고 있다.
Nissan Chemical이 8.9%로 가장 높았고 Nihon Nohyaku가 8.4%, Nippon Synthetic Chemical과 Hodogaya Chemical이 각각 7.8%, Tokyo Ohka Kogya가 7.5%, Nippon Kayaku가 7.2%로 뒤를 이었다.
7% 이상을 기록한 상위 7사와 이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연결 기준 R&D 인원수는 2015년과 2016년 0.1% 증가한데 이어 2017년에도 7368명으로 0.7% 늘었다.
1사 평균도 320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Nitto Denko가 1443명으로 가장 많았고 Toyo Ink SC Holdings가 600명, Nissan Chemical이 560명, Adeka가 530명으로 뒤를 이었다.
NOF, Sanyo Chemical, Nippon Soda, Ishihara Sangyo, Kureha도 평균을 상회했다.
<화학저널 2019년 1월 7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