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핀]

용제(Solvent)는 페인트, 인쇄잉크를 시작으로 수지, 접착제, 의약·농약, 액정·반도체·기계 세정 등 광범위한 분야에 투입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됨과 동시에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함유율을 낮추어 안전성을 높이는 등 환경부하를 낮춘 친환경 타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제 생산기업들은 신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은 리먼 브라더스 사태에 따른 세계적인 경제 불황과 동북지방 대지진의 영향으로 용제 수요가 침체됐으나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서서히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 생산량도 수출 확대에 힘입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산 용제는 품질 및 기능성이 뛰어나 아시아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기능제품 뿐만 아니라 범용제품도 경쟁력이 높아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
일본시장은 성숙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수요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페인트용은 생산량이 4년 연속 증가했으며, 인쇄잉크용은 식품포장 등에 사용되는 그라비아 인쇄용 에스터(Ester)계가 호조를 보이고 있고, 전자소재 정밀세정용은 고기능·고순도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MEK, 한국 수출 9만톤 육박
MEK(Methyl Ethyl Ketone)는 용해성이 뛰어나 페인트, 인쇄잉크, 접착제, 수지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글로벌 MEK 수요는 약 100만톤으로 아시아가 7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일본이 주요 공급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일본에서는 Maruzen Petrochemical(MPC), JXTG에너지, 이데미츠코산(Idemitsu Kosan) 3사가 MEK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은 약 31만톤으로 생산량의 절반 가량을 수출하고 있다.
일본은 2017년 내수 및 수출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MEK 생산량이 27만671톤으로 전년대비 14.9% 증가했다. 2016년 잇따른 정기보수의 영향에서 벗어났기 때문으로, 동북지방 대지진이 발생하기 전 기록한 2010년의 26만5765톤을 넘어섰다.
수출은 14만8009톤으로 16.3% 증가했다. 인도네시아 수출은 1만8812톤으로 69.9% 급증했으며 최대 수출국인 한국은 8만8010톤으로 4.4%, 베트남은 1만2780톤으로 45.1%, 인디아 역시 1만1400톤으로 45.1% 늘어났다.
생산량에서 수출입을 가감한 내수는 12만2662톤으로 13.3% 증가했다.
일본은 MEK 내수가 2010년 14만톤 수준에 달했으나 동북지방 대지진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원료 조달이 어려워짐에 따라 페인트용 등이 다른 용제로 대체되며 수요가 감소한 바 있다.
이후 경기가 회복됨과 동시에 수요가 서서히 증가해 최근에는 동북지방 대지진 이전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IBK(Methyl Isobutyl Ketone)는 용해성이 높은 중비점 용제로 선박, 중방식, 자동차용 페인트, 시너 등이 주요 용도이다.
2017년 생산량은 5만5485톤으로 8.6%, 수출량은 2만7591톤으로 12.4%, 내수는 2만7943톤으로 4.2%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금호P&B화학만이 6만톤 플랜트를 통해 MIBK를 생산하고 있다.
다만, 내수가 2만톤 이하에 불과해 중국에 2만5000-2만7000톤 수출하고 있으나 중국이 한국산 MIBK에 18.5-32.3% 수준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수익성 악화가 우려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중국이 전체 MIBK 수요 12만톤 가운데 절반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반덤핑 조치 직후에도 수입을 바로 줄이지 못함에 따라 큰 타격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IPA, 아시아 수요 신장으로 수출 호조
알코올(Alcohol)계 용제는 IPA(Isopropyl Alcohol), 부탄올(Butanol), 에탄올(Ethanol), 옥탄올(Octanol) 등이 사용되고 있다.
IPA는 페인트, 그라비아잉크, 전자소재 세정제, 농약 합성원료, 계면활성제, 의약품 추출용제 등으로 투입되고 있다.
글로벌 수요는 180만톤, 아시아는 80만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JXTG에너지, 도쿠야마(Tokuyama), Mitsui Chemicals(MCC) 3사가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은 총 22만2000톤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본 IPA 플랜트들은 원유-나프타(Naphtha)부터 일괄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어 경쟁력이 높으며 생산량의 절반 가량을 수출하고 있다.
2017년 생산량은 23만286톤으로 15.4%, 판매량은 22만9829톤으로 10.6% 늘어났다.
아시아 수요 신장에 따라 수출이 대폭 증가함과 동시에 내수도 확대됐기 때문이다.
수출량은 2013년 약 61% 급증한 이후 증가세를 계속하고 있으며 거의 전량을 아시아 지역에 내보내고 있다.
2017년 수출량은 11만1053톤으로 27.0% 늘어났다.
타이완은 전자소재용 등 고순도제품 수요가 많아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2017년 수출량이 1만6809톤으로 15.6% 증가했다.
인도네시아 수출도 1만6322톤으로 32.5% 증가했으며 타이 수출은 2016년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2017년에는 1만4232톤으로 5.0% 늘어났다.
인디아 수출은 9702톤으로 무려 11배나 폭증했다. 전체 수요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의약·농약용 내수가 연평균 6-7% 신장한 영향으로 파악된다.
반면, 수입량은 1만5754톤으로 20.5% 감소했다. 2016년 크게 줄어든 싱가폴산 수입은 3580톤으로 4.4배 급증했으나 중국산은 1158톤으로 약 75% 급감했다.
내수는 13만4987톤으로 2.4% 증가했다.

 

LG화학·이수화학도 수출에 주력
국내에서는 LG화학과 이수화학이 IPA를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수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은 프로필렌(Propylene) 베이스 IPA 4만5000톤 플랜트, 아세톤(Acetone) 베이스 10만5000톤을 가동하고 있으며, 이수화학은 아세톤 베이스 6만톤을 가동하고 있다.
국내 IPA 수출량은 2017년 8만4144톤으로 증가했고 2018년 1-11월에도 8만2309톤으로 전년동기대비 6.2%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인디아에 주로 수출하고 있으며 인디아 수출은 2014년 1만4918톤으로 처음으로 1만톤을 넘긴 이후 2015년 1만6710톤으로 증가하고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2만3287톤과 2만1429톤으로 2만톤 이상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1-11월 수출량이 1만9767톤에 달했고 월간 1000톤 이상을 수출함에 따라 3년 연속 2만톤을 넘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 수출 역시 2016년 51톤에 불과했으나 2017년 9556톤으로 급증하고 2018년 1-11월 1만6284톤으로 급증세를 지속하며 호조를 이끈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에는 아시아 시장에서 일본산의 영향력이 약화돼 한국산의 존재감이 더 확대되고 있다.
일본은 프로필렌 공법을 주로 채용하고 있으나 채산성이 악화돼 생산량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국내기업은 LG화학이 프로필렌과 아세톤 공법 플랜트를 모두 가동하고 있어 시황에 맞추어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수화학은 아세톤 공법만 채용해 2018년 하반기 이어진 아세톤 가격 하락에 힘입어 수출을 확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초산에틸, 그라비아잉크용 수요 급증
에스테르계 용제는 초산에틸(Ethyl Acetate)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수요가 꾸준히 신장하고 있다.
초산에틸은 VOCs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쉽게 냄새를 제거하는 등 친환경성이 뛰어나 톨루엔(Toluene) 등 다른 유기용제를 대체하는 용도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식품포장에 사용되는 그라비아잉크용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페인트, 잉크, 점·접착제, 의약·농약 등에 다양하게 투입되고 있다.
앞으로도 수요가 연평균 2-3% 수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쇼와덴코(Showa Denko)가 11만톤, 다이셀(Daicel)이 7만5000톤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쇼와덴코는 2014년 오이타(Oita) 컴플렉스에서 원료 에틸렌(Ethylene)에 초산(Acetic Acid)을 직접 부가하는 고효율 플랜트를 가동한 이후 수요가 더욱 신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촉매 개량 및 보틀넥 해소를 통해 생산능력을 10만톤에서 11만톤으로 확대했다.
다이셀은 초산과 바이오 에탄올을 원료로 초산에틸을 생산하고 있다.
일본은 2011년 동북지방 대지진에 따른 MEK 플랜트 가동중단 등의 영향으로 MEK를 초산에틸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됐고, 이후에도 친환경성이 뛰어난 특징을 바탕으로 다른 유기용제를 대체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식품포장에 사용되는 그라비아인쇄용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전자소재 관련, 점·접착제, 의약·농약 관련수요가 꾸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일본 초산에틸 시장은 내수가 약 25만톤에 달하는 반면 생산능력이 18만5000톤에 불과해 나머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17년 수입량은 11만6788톤으로 3.4% 증가했으며 중국산이 90% 수준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산은 2005년부터 수입하기 시작했으며 2013년 수입량이 13만5000톤에 달한 이후 감소세를 계속해 2015년부터 10만톤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PG계, 고순도제품 중심으로 안정 성장
글리콜에테르(Glycol Ether)계 용제는 PG(Propylene Glycol)계와 EG(Ethylene Glycol)계로 구분된다.
PG계 용제는 친환경성 및 안전성이 뛰어나 EO(Ethylene Oxide)계 용제를 일부 대체했으나 대체수요가 일단락됨에 따라 전자소재 정밀세정용 등 고기능제품을 중심으로, EO계는 페인트, 잉크, 세정용 등으로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하고 있다.
PG계 용제는 PGME(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와 PGME에 초산을 반응시켜 용해력을 더욱 향상시킨 PGMEA(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가 대표적이다.
PGME는 레지스트 박리제 등 전자소재 관련 세정제용이 5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페인트, 잉크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일본 수요는 지상파 디지털방송이 시작돼 액정TV 생산이 크게 늘어난 2010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디스플레이 생산이 축소됨과 동시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그러나 정밀세정용을 중심으로 꾸준한 수요를 확보하고 있어 최근 수년간 1만7000톤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PGMEA 수요는 레지스트 박리제가 4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페인트, 인쇄잉크가 뒤를 잇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액정패널 생산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고순도제품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EG계 용제는 EGME(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페인트용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 음료캔 등의 도장에 사용되는 수계 페인트를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됐다.
일본 수요는 3만톤 이상으로 정점에 달한 이후 PG계로 전환이 가속화되며 감소세로 전환됐으나 용해력이 높은 특성 등 기본적인 성능 및 사용 편리성이 뛰어나 2만8000톤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표, 그래프: <일본의 주요 용제 생산동향, 일본의 페인트·잉크 생산동향>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석유화학] 톨루엔, 용제‧코팅 부진 지속에… 2025-09-18  
[나노소재] CNF, 용제 분산체로 용도 확대 2025-09-11  
[석유화학] 톨루엔, 용제‧코팅도 조용하다! 2025-07-17  
[석유화학] M-X, 페인트·코팅·용제 침체 지속 2025-07-10  
화학저널
화학저널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계면활성제] 유화제, 일본 수요 감소 가속화 일본산 유입을 경계하라! 2025-08-29  
석유화학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