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2, R-32 등 냉매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중국에서 춘절 연휴가 끝난 이후에도 에어컨용을 중심으로 수요가 부진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2018년 말 설비 트러블로 공장 가동을 중단했던 중국기업이 재가동한 것도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불소계 화학제품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 일부 특수제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급이 완화되고 있다.
특히, 냉매는 에어컨용 수요가 눈에 띄게 회복되지 않는 이상 수익성 악화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에는 4월 에어컨용 성수기가 지난 이후 냉매 가격이 하락했고 가을부터 미국-중국 무역마찰 영향이 겹치며 불소계 화학제품 구매가 줄어들면서 냉매도 함께 떨어졌다.
2019년에는 춘절 연휴가 시작되기 이전에 구매가 줄어들며 하락추세를 계속했고 춘절이 끝난 이후에는 에어컨용 성수기에 돌입하며 가격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에어컨용 수요가 되살아나지 못하면서 약세가 장기화되고 있다.
중국의 에어컨 재고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많은 가운데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 주요 불소수지 공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에어컨용 냉매 수요가 회복되지 않으면 수익성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수급이 타이트한 불소화학제품은 불소고무(FKM)의 원료로 사용되는 HCFC(Hydrochlorofluorocarbon)-142b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LiB(리튬이온전지)의 바인더로 사용되는 PVDF용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일부에서 PVDF용 공급에 집중하며 수급타이트를 유발한 것으로 파악된다.
냉매는 2019년 초부터 오존층 파괴물질(ODS) 생산 제한량 갱신으로 중국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중국 수요는 2018년 말부터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춘절 연휴 이후에도 구매를 자제하는 흐름이 확산되면서 에어컨용 냉매 성수기가 도래할 때까지 수요 침체가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2018년에는 원료 무수불산(Anhydrous Hydrofluoric Acid)이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공급이 줄어들며 급등함으로써 냉매도 동시에 고공행진했다.
중국에서 에어컨용 구매가 급증한 2018년 초에는 형석 수급타이트까지 겹치며 R-125, R-410a 등이 모두 강세를 나타냈고 일본, 미국, 유럽에서 일부 수요기업들이 공급불안을 우려하며 비수기에도 구매를 확대하면서 이례적인 급등세가 계속됐다.
하지만, 4월 에어컨 성수기가 지난 이후 하락세로 전환됐다.
중국의 ODS 생산량이 연말이 되기 한참 전부터 제한량을 상회함으로써 하락세가 가속화됐으며, 계절적 요인으로 형석 공급이 타이트해진 연말에도 약세를 유지했다.
2019년 초에는 ODS 생산 제한량 기준이 조정되기 때문에 중국의 냉매용 수요가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여전히 수요가 침체돼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에서 에어컨 재고가 늘어난 것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냉매 생산기업들이 설비 트러블로 공장 가동을 멈추었음에도 공급이 수요를 상회하고 있다.
무수불산도 하락세를 계속하고 있다.
냉매 수요가 부진한 상태여서 형석 공급이 축소됐음에도 3월 초 FOB China 톤당 2200달러로 전월대비 100달러 하락했다.
무수불산은 2018년 2월 30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갱신한 이후 중국의 다운스트림 가동, 환경규제 등으로 감산이 이루어지며 등락을 거듭했으나 가을부터는 다운스트림 수요 부진이 영향을 미치며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연말에는 일부 형석 광산들이 계절적 요인으로 가동을 중단했음에도 불구하고 2500달러 이하로 하락했다.
2019년 들어서는 형석 공급이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춘절 연휴 이후 에어컨용 냉매 성수기에 돌입하면서 반등할 것으로 예측됐지만 냉매 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면서 100달러 이상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