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2일 (토)
페놀, 중국 반덤핑 그림자가 LG·금호를 압박한다!
2019년 5월 6일

 

글로벌 페놀(Phenol) 수요는 2017년 1031만톤으로 전년대비 4.9% 증가했다.
BPA(Bisphenol-A)용이 461만톤으로 3.1%, 페놀수지(Penolic Resin)용이 348만톤으로 2.0%, 나일론(Nylon) 원료인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용이 124만톤으로 20.2%, 기타가 98만톤으로 7.2% 늘었다.
페놀 수요는 BPA용과 페놀수지용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BPA는 PC(Polycarbonate) 및 에폭시수지(Epoxy Resin) 제조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BPA와 페놀수지는 대부분 최종적으로 자동차, 사무·전자기기, 건축 관련분야에 사용됨에 따라 경제성장률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 수요는 일본이 62만톤으로 9.7%,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가 529만톤으로 8.9% 신장했으나 미국은 182만톤으로 0.1%, 기타는 73만톤으로 1.5% 증가에 그쳤고 유럽은 186만톤으로 0.9% 감소했다.
세계 페놀 플랜트 가동률은 83% 수준으로 2016년에 비해 약간 상승했다.

 


LG·금호 증설 경쟁에도 수익 개선 탄력
국내 페놀 수요는 2017년 99만4000톤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4.0%로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페놀 생산량도 131만톤으로 연평균 8.5% 늘어나고 수출 역시 34만6000톤으로 20.1% 늘어나는 등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페놀 생산량 증가는 금호P&B화학이 2016년 38만톤 플랜트를 신규 건설해 총 생산능력을 68만톤으로 확대하고, LG화학 역시 60만톤으로 증설하는 등 전체 생산능력이 128만톤으로 대폭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수요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BPA 생산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도 크게 작용했다.
BPA용 수요는 2013년 70만톤에서 2017년 91만5000톤으로 크게 늘어났다. BPA의 주요 수요처인 에폭시수지 및 PC 생산 증가에 따른 것으로, BPA는 에폭시용으로 30%, PC용으로 67% 투입되고 있다.
국도화학은 에폭시수지 생산능력을 최근 3-4년간 꾸준히 확대해 2018년 현재 65만3000톤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금호P&B화학도 15만2000톤으로 증설해 국내 총 생산능력이 2012년 47만2000톤에서 2018년 87만6000톤으로 크게 확대됐다.
이에 따라 에폭시수지 생산량은 2017년 기준 67만0000톤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9.9% 증가했다. 전기전자용 및 접착제용 수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PC 생산능력은 롯데첨단소재가 24만톤에서 2020년까지 11만톤을 증설해 35만톤으로 확대하는 등 국내 총 생산능력이 2018년 64만톤에서 2020년 75만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페놀의 최대 수요처인 BPA 생산능력은 금호P&B화학 45만톤, LG화학 45만톤, 삼양이노켐 15만톤 등 2018년 1050만톤에 달했으며 가동률이 95%에 육박하고 있다.

 

중국, 반덤핑관세 부과 재연장 “우려”
국내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음은 물론 반덤핑으로 짓눌려 있던 수출도 활기를 보여 최근 5년간 20.1% 급증했다. 
페놀 수출량은 2017년 34만6000톤으로 중국 34%, 타이완 34%, 인디아 14%, 일본 14%로 중국과 타이완이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페놀은 2004년부터 2015년까지 11년간 중국이 반덤핑관세를 부과해 수출이 감소했으나 2016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2017년까지 30-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는 2018년 3월26일부터 2019년 3월26일까지 1년간 한국산 수입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다시 착수했으며 2019년 9월 말까지 조사기간을 연장할 계획이다.
조사 대상기업은 LG화학, 금호P&B화학과 미국 셸케미칼(Shell Chemicals), 수노코(Sunoco), 이네오스(Ineos), 다우케미칼(Dow Chemical), 올린(Olin), Altis, Vinmar International, Kolmar Americas, Georgia Gulf, Mount Vernon Chemicals, 허니웰(Honeywell), 사빅(Sabic), EU(유럽연합)는 Ineos Petrol, 베르살리스(Versalis), Cepsa, Domo Caproleuna, 보레아리스(Borealis), Novapex, Royal DSM, 일본 미쓰이케미칼(Mitsui Chemicals), 미츠비시케미칼(Mitsubishi Chemical), Nippon Steel & Sumitomo Metal(NSSMC), 타이 PTT Phenol 등이다.
조사 대상기간 동안 국내기업은 2017-2018년 최혜국대우관세 5.5%를 부과받았으며 중국 수출량은 2014년 6만6520톤으로 전체의 30.7%, 2015년 3만3561톤으로 20.5%, 2016년 3만4373톤으로 13.9%, 2016년 1만8339톤으로 11.9%, 2017년 8만6840톤으로 31.5%, 2018년 16만9082톤으로 38.9%를 차지했다.
KOTRA는 국내기업들의 덤핑마진을 23.76%로 추정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은 36.42%, EU 30.44%, 일본 27.01%, 타이 28.64%로 파악하고 있다.
LG화학, 금호P&B화학 및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페놀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 중국의 공정하고 객관적인 조사를 계속 요청할 예정이다. 
페놀은 모처럼 경기가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이 다시 보호무역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어두운 그림자가 다시 드리우고 있다.


LG·금호, 글로벌 시황 호조 “수혜”
페놀은 2018년 BPA 수요가 호조를 이어가고 중국에서 페놀공법 사이클로헥사논 플랜트가 신규 가동함으로써 호조를 나타냈다.
중국 및 인디아의 신증설에도 불구하고 쉘케미칼의 가동중단에 따라 미국산 유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페놀 현물가격은 2018년 10월 FOB Rotterdam 톤당 1373달러로 폭등하는 등 2018년 초강세를 나타냈다.
세계 1위인 영국 Ineos Phenol이 10월 말 불가항력을 선언하는 등 중부유럽 가뭄으로 원료인 큐멘(Cumene) 공급이 원활치 않자 일시적으로 가동을 중단함으로써 수급타이트를 유발했다.
이에 따라 페놀 수익성도 2018년 크게 개선됐다.
페놀 국제가격은 2017년 FOB USG 톤당 662달러, 벤젠(Benzene)은 FOB Korea 831달러로 단순 스프레드가 마이너스 169달러로 적자를 나타냈다. 
그러나 2018년 1분기에는 페놀 1123달러, 벤젠 891달러로 스프레드가 플러스 232달러로 벌어졌고 4분기에는 페놀 1211달러, 벤젠 712달러로 499달러에 달했다.
페놀이 초강세를 나타내면서 자체소비가 많은 LG화학보다는 내수판매 및 수출비중이 높은 금호P&B화학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3년간 2%대의 영업이익률에 머물던 금호P&B화학은 2018년 1분기에 15.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고 3-4분기에 더욱 개선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시아 페놀 가격은 2016년 말부터 벤젠이 상승함에 따라 2017년 1-3월 1000달러를 돌파한 이후 벤젠과 함께 하락세로 전환돼 900달러 안팎을 유지했다.
그러나 미국 페놀 생산기업들이 8월 말 발생한 허리케인의 영향으로 일부 플랜트 가동을 중단하면서 아시아 수출을 줄여 공급이 감소한 가운데 중국에서 페놀공법 사이클로헥사논 플랜트가 신규 가동함으로써 수요가 늘어 9월 이후 다시 상승세로 전환됐으며 10-12월 1100달러 이상으로 급등했다.
페놀과 벤젠의 스프레드는 1-9월 평균 100달러 수준에서 10-12월 300달러까지 벌어졌으나 연평균 100달러대 중반으로 2016년 200달러에 비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에는 미국산 저가제품 유입으로 스프레드가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나 8월 말 허리케인의 영향으로 미국산 유입이 감소함과 동시에 중국 수요가 늘어 스프레드가 확대됐다.

 

미국·유럽, BPA용 수요 감소세
미국은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이 2016년 1.5%에서 2017년 2.2%로 상승했으나 페놀 수요는 182만톤으로 변함이 없었다.
전체 수요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는 BPA용 수요는 52만톤으로 4.2% 감소했으며 페놀수지용은 71만톤으로 2.2%, 사이클로헥사논 및 기타는 57만톤으로 2.2% 증가했다.
BPA는 유도제품인 PC 및 에폭시수지가 경쟁력이 뛰어난 아시아제품 유입으로 플랜트 가동률이 떨어져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페놀 수출량은 하반기 이후 아시아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27만톤으로 6만톤 줄었다.
가동률은 2015년 하버힐(Harverhill), 액시알(Axiall)의 구조재편에 따라 87%로 상승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유럽은 GDP 성장률이 1.8%에서 2.0%로 상승했으나 페놀 수요는 2017년 186만톤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BPA용은 81만톤으로 4.2% 감소한 반면 페놀수지용은 34만톤으로 2.0%, 사이클로헥사논 및 기타는 70만톤으로 1.7% 증가했다.
BPA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아시아산 PC 및 에폭시수지가 유입됨에 따라 수요가 감소했다.
수급구조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가동률은 71%로 1%포인트 하락했다.

 

아시아, BPA 중심으로 안정성장
중국은 GDP 성장률이 2016년 6.7%, 2017년 6.8%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페놀 수요는 227만톤으로 15.3% 증가했다.
BPA용은 PC 수요 호조 및 자급률 향상에 힘입어 93만톤으로 12.0% 신장했으며 페놀수지용은 89만톤으로 1.0% 증가에 그쳤고 사이클로헥사논 및 기타는 45만톤으로 75.5% 폭증했다.
페놀수지용은 환경규제에 따른 가동률 하락 등의 영향으로 GDP 성장률을 하회했으나 사이클로헥사논 및 기타는 페놀공법 사이클로헥사논 플랜트가 가동을 시작함으로써 신규 수요가 14만톤 발생했다.
수출은 4만톤으로 33.0%, 수입은 32만톤으로 3.0% 감소했다.
생산능력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BPA 및 사이클로헥사논 수요 신장에 따라 가동률은 69%에서 81%로 상승했다.
일본은 GDP 성장률이 1.0%에서 1.5%로 상승했으며 페놀 수요는 62만톤으로 10%에 육박하는 증가율을 기록했다.
BPA용은 37만톤으로 8.7% 증가했고 페놀수지용은 13만톤으로 변함이 없었으며 사이클로헥사논 및 기타는 12만톤으로 31.9% 급증했다.
하반기에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페놀공법 사이클로헥사논 플랜트가 가동을 시작함으로써 신규 수요가 3만톤 발생했으며 BPA용은 PC 수요 호조에 힘입어 증가세를 나타냈다.
수출은 5만톤으로 1만톤 감소했으며 주로 중국, 아세안(ASEAN)으로 수출하고 있다.
수입은 BPA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2016년에 비해 페놀 플랜트 정기보수가 짧았기 때문에 총 6만톤으로 26.0% 줄었다.
생산능력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동률은 81%에서 92%로 상승했다. 2016년에는 정기보수 장기화, 플랜트 트러블의 영향으로 가동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타이완 수요는 92만톤으로 4.2% 신장했다.
BPA용은 51만톤으로 1.0% 증가에 머물렀으나 사이클로헥사논용은 유도제품인 CPL 수요가 계속 호조를 보임에 따라 30만톤으로 11.1% 늘었다.
생산능력은 변화하지 않았으며 가동률은 사이클로헥사논용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68%에서 65%로 하락했다.
아세안 수요는 54만톤으로 2.0% 증가했다.
BPA, 페놀수지 모두 꾸준한 신장세를 나타냈으며 공급은 변함이 없었다.

 

 

미국 생산능력 감축으로 수급구조 변화
글로벌 경제는 2018년 GDP 성장률이 3.6%에 달했고 페놀 수요증가율은 4.6%로 GDP 성장률을 상회했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생산능력은 4월 중국 CNOOC가 22만톤, 인디아 Deepak이 15만톤 플랜트를 신규가동하고 미국 쉘케미칼이 21만톤 생산라인을 가동 중단함에 따라 총 1275만톤으로 25만톤 확대되는데 그쳤다.
수요가 1079만톤으로 48만톤 증가하는 점을 감안하면 가동률이 85%로 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은 가동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쉘의 가동중단으로 유럽 및 아시아 수출이 대폭 감소했고, 사우디 페트로라비(PetroRabigh)가 가동을 본격화함으로써 미국 수출물량을 일부 대체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PC 자급률 향상에 따른 BPA 수요 신장, 페놀공법 사이클로헥사논 신규건설에 따라 가동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은 2018년 GDP 성장률이 2.3%로 상승했고 페놀 수요는 BPA용이 54만톤으로 3.8%, 페놀수지용이 73만톤으로 2.8%, 사이클로헥사논용이 35만톤으로 2.2% 늘어 총 185만톤으로 1.6%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럽은 GDP 성장률이 1.8%로 둔화됐으나 페놀 수요는 190만톤으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BPA용이 83만톤으로 2.5%, 페놀수지용이 35만톤으로 2.9%, 사이클로헥사논용이 44만톤으로 1.6%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은 2016년 하반기부터 MMA(Methyl Methacrylate)용 아세톤(Acetone)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페놀 생산기업들이 부산물인 아세톤을 확보하기 위해 플랜트 가동률을 올려 페놀 공급과잉이 발생했으며 과잉물량은 주로 아시아로 수출했다.
2017년에도 아시아 수출이 높은 수준을 지속했으나 2018년에는 쉘이 21만톤 플랜트 가동을 중단함으로써 생산물량이 대부분 역내에서 소비되고 유럽 및 아시아 수출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은 페놀 생산능력 219만톤에 가동률이 89%로 2%포인트 상승하고 유럽은 생산능력 253만톤에 가동률이 70%로 1%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 수출물량은 중동산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유럽은 생산능력 과잉이 계속됨에 따라 설비 가동중단을 포함한 구조재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아시아는 GDP 성장률이 중국 6.5%, 인디아 7.4%, 동남아 5.1% 등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페놀 수요도 630만톤으로 6.6%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이클로헥사논용은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중국에서 페놀공법 플랜트가 가동을 시작함으로써 68만톤으로 44.8% 급증하고 BPA용은 중국 수요가 18.1% 증가하는데 힘입어 338만톤으로 3.6%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생산능력은 사우디 페트로라비가 가동을 본격화하고 중국 및 인디아가 신규 플랜트를 가동함에 따라 45만톤 확대되나 미국 및 유럽산 유입이 감소해 가동률은 86%로 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사이클로헥사논, 신규 성장동력으로…
페놀 수요는 BPA와 페놀수지가 전체의 8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 사무·전자기기,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됨에 따라 글로벌 경제와 함께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2017년 이후 페놀공법 사이클로헥사논 플랜트 가동이 잇따르고 있는 아시아가 앞으로도 계속 세계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아시아는 페놀 신증설이 계속되나 꾸준한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가동률이 서서히 상승해 2018년 이후 90% 안팎을 유지하고 세계 전체적으로는 80%대 후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표, 그래프: <글로벌 페놀 수급동향, 국내 페놀 수급동향, 페놀 수출입동향, 페놀 가격동향, 페놀 수익동향, 글로벌 페놀 수요동향, 일본 페놀 수급동향, 아시아 페놀 수급동향, 중국 페놀 수급동향, 세계 페놀 생산능력(2018)>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플래스틱] PET필름, 중국산 반덤핑관세 장벽 높인다! 2025-11-21  
[화학경영] 바스프, 중국 중심 수익성 개선한다! 2025-11-21  
[배터리] SK온, 중국 옌청 배터리 공장에 집중 2025-11-21  
[디지털화] 클라리언트, 중국에 AI 솔루션 공급 2025-11-20  
화학저널
화학저널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플래스틱] 플래스틱 무역, 중국 수출 공세 강화에 미국산 수입은 외면했다! 2025-11-21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