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토모케미칼(SCC: Sumitomo Chemical)이 LiB(리튬이온전지) 양극재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구체 분야에서 채용실적을 갖춘 자회사 Tanaka Chemical과 연계를 강화해 기존제품에 없는 뛰어난 내구성을 확보한 차세대제품을 개발했으며 채용을 목표로 제안하고 있다.
사업화를 위해서는 생산효율이 높은 신규 소성 프로세스를 도입할 방침이며 에히메(Ehime) 공장에 파일럿 플랜트를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산화를 위해 신규 프로세스 브러시 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상황을 보면서 소성설비에 대한 투자도 검토할 계획이다.
조기 사업화를 위해 전기자동차(EV) 용도에서 상당한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분리막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스미토모케미칼은 LiB 4대 핵심소재 가운데 분리막 분야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폴리올레핀(Polyolefin) 기판에 아라미드 수지를 코팅한 분리막으로 세라믹 코팅제품에 비해 내열성이 높고 경량화를 실현한 것이 호평을 받으면서 EV 분야에서 많은 채용실적을 확보하고 있다.
양극재는 장기간 연구개발(R&D)을 통해 풍부한 기술 및 노하우를 갖추고 있으나 조기 사업화를 과제로 파악하고 있다.
전구체에서 채용실적을 갖춘 Tanaka Chemical을 산하에 보유하고 있다는 강점을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해나갈 방침이다.
현재 스미토모케미칼이 고용량화는 물론 내구성을 대폭 개선한 차세대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조기 채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극재 사업화를 위해 생산효율이 높은 신규 소성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에히메 공장에 파일럿 플랜트를 도입해 검증을 추진하고 있으며 양산을 위한 스케일 업을 목표로 기술 브러시 업에 주력하고 있다.
소성설비에 대한 투자도 검토하고 있으며 분리막의 뒤를 잇는 2번째 핵심소재로 육성할 계획이다.
판매는 기존 분리막 판매망을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수직계열화도 완성할 예정이며 양극재 노하우를 전고체전지에 활용하기 위해 외부와 연계를 확대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분리막은 기존 수요기업에 대한 안정공급을 추진하면서 신규 수요기업 개척을 가속화한다.
자동차 용도에 머무르지 않고 전동 바이크와 자전거, 컴퓨터, 정치용 축전지(ESS) 등 자동차 외의 용도 개척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오에(Oe) 공장과 국내 자회사 SSLM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SSLM의 코팅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신규 수요기업 개척 상황을 살펴보면서 추가적인 증설도 진행할 계획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