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6가 크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나노셀룰로스(Nano Cellulose) 소재를 개발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나무에서 얻은 나노셀룰로스를 이용해 유해 중금속인 6가 크롬을 더 많이 흡착할 수 있는 고성능 흡착소재를 개발했다고 3월30일 밝혔다.
새로 개발한 나노셀룰로스 베이스 흡착제는 기존 흡착소재는 다공성 실리카(Silica) 베이스보다 최대 4배 더 많은 6가 크롬을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가 크롬은 주로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며 인체에 노출되면 세포막을 즉각적으로 관통해 간‧신장‧비장 등에 축적되고 장기 노출되면 호흡계 암 등을 유발하는 독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팀은 크롬 흡착성능이 우수한 고분자(Polyacryloyl Hydrazide)를 나노셀룰로스 표면에 접합(Polymer Grafting)시키고 부착된 고분자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흡착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나노셀룰로스 흡착제는 다른 기능성 물질을 쉽게 접합시킬 수 있고 다른 천연소재와 비교해 부피당 표면적이 넓은 장점이 있으며 재활용성이 높아 산업화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권재경 박사는 “산업단지 하천에 대한 중금속 모니터링과 오염물질 배출 감시체계가 강화되고 있다”며 “연구 결과는 중금속 사용, 배출, 정화 관련 산업 전반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립산림과학원과 이정현 고려대 교수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성과는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최신호에 게재됐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