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폐수는 일반도시의 하수와 달리 일정성분이나 농도를 표준화하기 어렵고 각 단위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폐수가 처리대상이므로 플랜트 및 제품, 처리 대상물질의 특성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정유공장 Oil을 제거하기 위해 Oil Separator와 가압 부상설비 이용 등 물리화학적 처리만 실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후처리로 활성탄 필터와 혐기성 소화조 등을 이용해 활성오니 처리를 병행하기도 한다. 석유화학 석유화학 공장들은 정제된 나프타를 원료로해 NCC에서 분해한 뒤 순물질로 분리하고 연계공장의 원료로 이송해 각종 플래스틱 및 합성고무, 섬유 등 방대한 형태의 원료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각종 공정에서 발생하는 석유화학 공정의 폐수들은 유분을 함유하거나 용해성 유기물의 형태로 수중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가장 생산량이 많은 Ethylene은 폐수량도 3750㎥/d로 가장 많이 배출되며 Phenol 수치가 매우 높다. 표, 그래프 : | 제지·펄프공정의 폐수 발생량과 특성 | 폐수 재활용을 위해 제거해야 할 물질 | 석유화학공장의 주요 생산품목별 폐수의 특성 | 유기물 종류에 따른 ThOD·COD·BOD | 분리기술의 종류 | 상품화된 R/O설비의 막과 모듈의 형태와 구분 | 염료의 종류에 따른 폐수중의 주요 화학성분 | 폐수에 들어 있는 전형적 화학성분과 영향 | 이온성 물질의 분리방법 개요 | <화학저널 2000/10/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천연가스] GS칼텍스, 저탄소 연료 기술 강화 | 2025-09-30 | ||
[화학경영] LG화학, 협력기업 기술도 보호한다! | 2025-09-26 | ||
[플래스틱] 필름, 최신 응용기술 한자리에… | 2025-09-19 | ||
[환경화학] 도시유전, RGO 기술로 중동 진출 | 2025-09-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PS, 중합기술 활용해 고부가화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