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년 이내에 해외에서 청정수소(그린수소)를 들여오기 위해 공급망 구축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23일 롯데호텔에서 30개 관련기업·기관과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협약에 참여한 곳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 공기업 5곳,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준정부·연구기관 6곳,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선급 등이다.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6개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을 세운 바 있다.
정부는 수소전기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수송용 수소 수요가 2020년 4000톤에서 2030년 37만톤으로 폭증하고 철강·화학 등 산업용 수소 활용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석유화학 공정 부산물로 나오는 부생수소와 액화천연가스(LNG)에서 뽑아내는 추출수소가 대부분으로 수요에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 부생수소는 공급여력에 한계가 있고,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문제가 대두된다.
이에 따라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해 얻는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내 청정수소 생산능력과 기술적 한계를 고려할 때 2030년 이후 국내수소 수요 중 최소 10-50%의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조달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청정수소를 수입하려면 액화수소 운반선, 인수기지, 항만 저장탱크 등 막대한 투자가 요구돼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제협력을 통해 사업 위험성을 줄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