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니켈과 같은 비철금속 가격이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중국이 코로나에서 벗어나 조업활동을 재개하면서 수요를 견인하고 달러화 가치 하락, 광산 생산량 감소 등이 겹쳤기 때문이다.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비철금속은 전량 수입하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가면 원가가 상승해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광물자원공사에 따르면, 9월7일 구리(동) 가격은 톤당 6790.5달러로 연초에 비해 10.14% 올라 2018년 6월 중순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이 산업활동을 확대하면서 구리 수입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으로, 중국은 8월 비가공 구리 및 구리 반제품 수입이 1년 전보다 65.5% 급증한 66만8486톤을 기록했다. 7월 76만2211톤에 비해서는 감소했으나 역대 2위 수입실적이다.
남미지역에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칠레, 페루의 7월 구리 생산량이 1년 전보다 각각 4.6%, 2.2% 감소해 공급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원자재인 니켈 가격도 3월 하순부터 반등해 오름세가 커지고 있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거래된 니켈 가격은 2020년 1월 초 톤당 1만4290달러에서 3월 1만1055달러로 저점을 찍은 후 상승세를 타더니 9월1일 1만5660달러로 상승했다.
중국이 스테인리스강 생산을 꾸준히 확대하는 가운데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중국은 세계 니켈 수요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니켈 수요의 약 70%는 스테인리스강 제조에 투입하고 있다.
중국은 7월 전기자동차 판매도 전년동월대비 31.5% 증가해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기자동차 배터리에는 단가가 비싼 코발트 대신 니켈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전체 니켈 수요에서 전기자동차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 3%에서 2030년에는 23%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최대 니켈 생산국인 인도네시아가 2020년 1월부터 원광 수출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필리핀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정상 조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니켈 생산에 차질이 빚어진 점도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알루미늄 가격은 4월 초 톤당 1421.50달러까지 하락했으나 다시 반등하며 최근 1763달러로 올랐다.
달러화 가치 하락도 비철금속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철금속은 위험자산으로 분류돼 안전자산인 달러화 가치와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달러화 가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경기 부양을 위해 대규모 양적 완화에 나서면서 5월부터 내리막길을 걷고 있으며,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9월1일 장중 한때 91.74까지 떨어져 2018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