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C(대표 이완재)가 폐플래스틱으로 친환경 열분해유를 생산한다.
SKC는 쿠웨이트 PIC와 합작한 화학사업 투자기업 SK피아이씨글로벌을 통해 울산시와의 협력 아래 국내 최대규모 친환경 열분해유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종적으로는 폐플래스틱으로 만든 열분해유로 플래스틱 원료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울산시와 친환경 자원화 사업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폐플래스틱으로 산업용 열분해유를 만드는 친환경 자원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SKC와 SK피아이씨글로벌이 친환경 자원화 설비를 건설해 지역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하고, 울산시는 설비투자 관련 인·허가 및 인센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플래스틱은 매년 바다로 800만톤이 유출되고 있고 2050년이면 바다 속에 버려진 플래스틱이 물고기보다 더 많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SKC는 2019년부터 바스프(BASF), 다우케미칼(Dow Chemical) 등 글로벌기업이 참여한 AEPW(Alliance to End Plastic Waste)에 국내 최초로 가입해 폐플래스틱 해결 방안을 고민해왔으며 최근 폐플래스틱 열분해에 주목하고 울산시와 뜻을 모았다.
SK피아이씨글로벌은 울산공장 인근 5만평방미터 부지에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열분해유를 생산하는 친환경 자원화 설비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폐비닐류 기준 6만톤을 처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단일설비 기준 국내 최대규모로 파악되고 있다.
SK피아이씨글로벌이 상업화 기술을 갖춘 글로벌기업과 협력하고 있으며 조기에 착공해 2023년 완공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플래스틱, 비닐 제조공정을 거꾸로 구현한 공장에서 재활용이 안되는 비닐 등 폐플래스틱으로 3만5000톤의 친환경 열분해유를 생산할 계획이다.
당분간 SK피아이씨글로벌 울산공장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지만 불순물 제거 수준을 높여 나프타(Naphtha) 등 고부가 플래스틱 원료로도 활용함으로써 순환경제를 실현할 방침이다.
이완재 SKC 사장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로 1회용 폐기물이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울산시와의 열분해유 MOU는 지역 순환경제를 위한 첫 단추가 될 것”이라며 “폐비닐 등 폐플래스틱으로 열분해유를 제조하고 플래스틱 원료까지 만드는 순환경제를 이루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