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연구원, 실리콘 태양전지와 유사수준 … 중국 제치고 1위로 부상
화학뉴스 2021.02.25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 기술을 개발하며 중국에 내준 효율 수준 1위자리를 탈환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에너지소재연구센터 서장원 박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소재기술을 개발했다고 2월25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Silicone) 태양전지에 비해 저렴한 화학소재를 저온에서 용액공정을 통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가볍고 설치도 편리하지만 광전변환효율이 실리콘 태양전지의 26%보다 낮아 상용화가 어려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서장원 박사팀이 개발한 태양전지는 0.1평방미터에서 25.2% 효율을 기록한데 이어 1평방미터 소자에서는 23.0%로 세계 최고효율을 달성함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에 필수조건인 대면적화의 가능성을 확보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던 중국의 23.7%를 앞지른 수치로 1위를 탈환하게 됐다.
태양전지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전압과 전류로, 서장원 박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구성하고 있는 층의 소재 중 전압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자수송층 소재와 전류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 층 소재를 각각 개발해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또 빛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 층 소재 합성법을 개발해 전지가 빛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도록 했고 전류와 효율 향상을 이끌어냈다.
연구 성과는 네이처(Nature) 2월25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서장원 박사는 “25.0% 이상의 높은 효율은 이론효율 측면에서 80.5%에 해당된다”며 “효율 향상이 더 이루어진다면 26.0% 이상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최고효율 26.7%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동 교신저자 신성식 박사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빛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은 빛을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면서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 외에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강윤화 선임기자)
표, 그래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와 원리>
<화학저널 2021/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