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업단지 소재 화학기업들이 대기오염도 측정치 조작사건 이후 민관 협력 거버넌스가 마련한 권고안을 수용하기 어렵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여수단지환경협의회는 3월25일 입장문을 내고 “일부 단체가 주도하고 전문가 입장이 결여된 연구과제 용역을 수용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현재 거버넌스의 위촉위원 대부분은 환경오염실태조사와 주민건강역학조사 용역에 관한 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하다”며 “전문가들의 의견보다는 소수 시민단체 위원들을 중심으로 한 편향적인 결정 사항들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용역 예산에 대해서는 “회원사들이 관계기관에 용역비의 세부적인 산출 근거를 밝혀줄 것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세부 산출근거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회원사들은 자발적으로 공정하고 전문성이 있는 용역기관을 선정해 연구용역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관 협력 거버넌스위원회는 22차례 회의를 열어 2월23일 여수산업단지 환경관리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권고안을 확정했다.
권고안에는 위반사업장에 대한 민관 합동 조사,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현장 공개, 여수단지 주변 환경오염 실태조사, 여수단지 주변 주민건강 역학조사 및 위해성 평가 등이 담겨 있다.
환경오염 실태조사, 여수단지 주변 주민건강 역학조사에는 53억3000만원의 용역비가 책정됐다. 용역 예산은 여수단지 소재 화학기업들이 분담한다.
5월부터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나 예산을 분담할 화학기업들이 반발하면서 난항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