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카(Unitika)가 ADAS(첨단운전지원시스템) 용도를 중심으로 고기능 수지 공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니티카는 카메라, 통신, 라이다(LiDAR), 디스플레이 등 ADAS 구성부품을 대상으로 식물 베이스 고내열 PA(Polyamide) 10T와 PAR(Polyarylate), PA 방열 그레이드 등을 적극 제안하고 있다.
다양한 특색을 갖춘 고기능 수지들을 통해 내열성과 리플로우 공정에 대한 내성, 저유전 등 차세대 자동차에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사 고기능 수지를 채용하면 친환경 특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고 홍보하며 자동차 탑재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니티카는 ADAS 시장을 대상으로 PA10T 제콧(Xecot)과 선제적으로 상업화한 PAR 수지인 U Polymer 등을 공급하고 있다.
현재는 자동차 탑재 카메라 모듈의 해상도를 높이거나 신뢰도를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새로운 용도 개척에도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U Polymer는 PPS(Polyphenylene Sulfide)보다 온도 변화나 흡습에 강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두께 1mm의 PPS는 흡수율이 0.4% 이상인 반면 U Polymer는 0.2%에 불과하다는 실험 결과를 확보했으며 결로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특성이기 때문에 자동차 카메라용 그레이드로 적극 제안하고 있다.
저유전‧고강성이 요구되는 부품 용도에서는 유리섬유로 강화한 제콧 신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신제품은 비유전율(1GHz)이 3.4로 저유전 타입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와 동등하며 유리전이온도(Tg)가 최대 섭씨 265도에 달하는 U Polymer 리플로우 대응 그레이드와 함께 통신부품 용도에서 채용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A 방열 그레이드는 전자파 차단성이 우수해 운전석 모니터, 디스플레이 부품, 라이다 부품용으로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수요기업들이 요구하는 친환경 특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제콧의 환경적 특성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외부기관을 통해 온난화계수를 산정한 결과 PA6가 6.7, PA66는 6.4인 반면 식물 베이스 방향족(Aromatics) PA인 제콧은 3.3인 것을 확인했다.
최근 시장에서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순환경제 추진을 지원하는 수지로서 제콧을 제안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