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SKI: 대표 김준)이 한국석유공사와 이산화탄소(CO2) 포집·저장(CCS) 분야에서 협력한다.
SK이노베이션은 한국석유공사와 정부가 추진하는 CCS 관련 다부처 국책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측은 동해가스전 CCS 실증모델 개발과 CCS 분야 확장을 위한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공동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의 최적 모델 도출과 CCS 사업 확장을 위한 기술·사업성 검토를 진행하고 연구 결과를 기초로 협력관계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한국은 2030년까지 매년 104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활용·저장한다는 목표 아래 640만톤은 이산화탄소 활용, 400만톤은 지중 저장을 통해 처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천연가스 생산이 곧 종료되는 석유공사 동해가스전을 활용해 2025년부터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을 개시할 계획이다.
한국석유공사는 20년 동안의 동해가스전 운영 관리를 통해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을 활용해 지중 사업 중 이산화탄소 저장 부문을 담당할 예정이다.
가스를 생산하고 비어있는 동해가스전 지하공간에 2025년부터 매년 40만톤씩 30년 동안 총 12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기로 했다.
이산화탄소 포집부문을 맡은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는 울산지역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최적의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SK에너지는 포집기술을 울산단지 수소 플랜트에 적용해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다른 주요 이산화탄소 발생 공정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국내 탄소중립 실현에 필수적인 CCS 사업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이산화탄소 포집부터 액화 수송, 저장 등 모든 밸류체인에서 다양한 기술의 개발과 사업 경험이 필수”라며 “한국석유공사와의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다양한 탄소중립 관련 협업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