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화진 고용노동부 차관이 정유·석유화학산업의 사망사고 감축을 위해 안전 조직 및 예산을 대폭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고용노동부는 9월16일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등 10개 정유·석유화학기업 대표들과 안전보건 리더 회의를 열고 산업재해 사망사고 감축 방안을 논의했다.
박화진 고용노동부 차관은 “2022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앞서 정유‧석유화학기업이 스스로 위험요인을 확인‧제거‧개선할 수 있는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 및 이행할 수 있도록 안전 조직과 예산의 대폭적인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대재해법은 노동자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경영책임자 등이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 처벌할 수 있도록 했다.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 의무에는 안전 조직과 예산 편성 등도 포함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8월까지 정유·석유화학산업에서 발생한 노동자 사망사고는 147건에 달했고 화학 설비·기계 등을 운전하거나 개보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가 78건으로 절반을 넘었다.
또 끼임방지 덮개나 추락방지 난간 등 기본적인 안전시설을 설치하지 않아 사고로 이어진 사례는 98건으로 가장 많았다.
박화진 고용노동부 차관은 “화학산업은 대규모 장치산업으로 위험기계 및 화학물질을 활용하며 설비·기계 등의 개보수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산업재해 발생 가능성이 크다”며 “경영진은 안전경영 방침이 현장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며 노동자도 안전수칙을 잘 지켜 안전한 사업장이 되도록 노력해달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