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퓨얼셀(대표 유수경)이 현대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두산퓨얼셀은 10월14일 현대자동차‧기아와 마이크로그리드용 수소연료전지 분산발전 시스템 준공식을 진행했다.
분산발전 시스템은 먼 거리에서 대규모로 발전해 송전하는 중앙집중형 발전 방식과 달리 전력 소비지역 부근에서 에너지를 생산·소비하는 발전설비이며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형 전원으로 독립적인 전력 생산과 공급이 가능한 전력 공급망이다.
두산퓨얼셀은 2019년 10월에도 현대자동차·기아, 울산테크노파크와 수소연료전지 분산발전 시스템 구축과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후 2021년 3월 생산설비 구축과 인‧허가 절차를 완료했으며 준공식을 기점으로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시범운전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실증실험은 서로 다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현대자동차·기아의 500kW급 고분자전해질(PEMFC) 연료전지와 두산퓨얼셀의 440kW급 인산형(PAFC) 연료전지를 함께 적용할 예정이다.
울산테크노파크는 설비 운영과 지원을 맡고 있다.
두산퓨얼셀과 현대자동차·기아는 기존과 달리 발전량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변동부하 방식으로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 대한 보완 기능을 검증할 방침이다.
재생에너지는 날씨 등 자연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으나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결합해 변동부하 방식으로 운영하면 전력 수요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전기 생산량을 조절함으로써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전력 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두산퓨얼셀과 현대자동차·기아는 실증실험을 통해 추후 분산발전원으로서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역할도 검증할 계획이다.
앞으로 분산발전이 확대되면 변동부하 방식의 발전시스템이 도심지 전력 수요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