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요소수를 자동차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가 최근 품귀 사태를 빚은 요소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용 요소수를 자동차용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지 실험했으나 당장은 사용이 불가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산업용 요소수를 자동차용 요소수로 전환하면 대기오염물질 규제 기준은 충족할 수 있으나 다른 환경적 영향 및 자동차에 미치는 영향이 구체적으로 검증되지 않아 추가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 제작·수입된 경유차는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질소산화물(NOx) 환원촉매장치(SCR)를 설치하고 있어 자동차용 요소수를 주입해야만 운행이 가능하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중국발 요소수 품귀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자동차용보다 여유로운 산업용 요소수를 자동차용으로 전환할 수 있을지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제철소, 화력발전 등에 쓰이는 비자동차용 요소를 자동차용 요소수(요소 농도 32.5% 내외)에 맞도록 제조한 시료를 6개 만들고 중상 수준의 알데히드 농도를 가진 시료 2종을 각각 자동차에 주입해 주행한 후 배출가스가 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지 11일 동안 검토했다.
시료는 배기량 2500cc급 경유 화물차 기아 봉고3 2021년식의 용량 약 15리터 요소수 탱크에 주입했으며 이후 실제 주행해 나오는 배출가스를 분석했고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 등 모든 대기오염물질 규제 기준을 충족시킨다는 결론을 얻었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자동차용 요소수와 비교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 농도가 대체로 비슷한 것 또한 확인했다.
다만, 독성물질인 알데히드는 1번 시료가 자동차용 대비 7.9% 감소한 반면 2번 시료는 1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소수 생산기업과 자동차기업, 대기환경 전문가들은 산업용 요소수 사용에 따른 환경적 영향과 자동차 SCR에 미치는 안전성 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추가 시험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또 산업용 요소수는 제조 목적에 따라 성분 함량에 많은 차이가 있어 성분 함량 조건별로 적용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실시한 시험만으로는 비자동차용 요소수의 자동차 적용성을 평가하기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고 알데히드 농도가 더 낮은 시료 2종과 시험 차종으로 3.5톤 마이티 등을 추가해 기술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다.
추가 실험 결과는 11월26일 이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국립환경과학원은 단지 기술적 검토만으로 산업용 요소수의 자동차용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없고 환경적 영향과 안전성도 고려해야 하므로 추가 실험 및 여러 정책적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에야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