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SKI: 대표 김준)이 차세대 전고체전지 개발에 나선다.
전고체전지 기술 선도기업인 미국 솔리드파워(Solid Power)의 존 제이콥 최고마케팅책임자(CMO) 등 경영진은 1월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CES 2022에서 SK그룹 전시장을 방문해 SK이노베이션과의 협력안을 논의했다.
솔리드파워는 2011년 설립돼 미국 콜로라도 루이빌(Louisville)에서 전고체전지 시제품 및 고체 전해질을 생산하고 있다.
전고체전지는 현재 배터리에 적용되는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해 화재 위험을 현저히 낮추고 배터리 무게와 부피도 줄여 LiB(리튬이온전지)의 용량 한계를 뛰어넘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솔리드파워에게 3000만달러(약 353억2500만원)를 투자하고 공동으로 전고체전지를 개발할 예정이며 포드(Ford), BMW 등도 솔리드파워에 투자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과 솔리드파워는 우선 LiB용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와 실리콘(Silicone) 음극재를 적용한 전고체전지를 개발해 에너지밀도 리터당 930Wh 이상을 구현할 계획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iB의 에너지밀도가 약 700Wh인점을 감안하면 약 33% 뛰어난 성능이며 동일한 크기의 배터리를 전기자동차(EV)에 탑재한다고 가정하면 1회 충전당 700km 주행 가능했던 전기자동차가 930km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양사는 전고체전지를 특히 기존 LiB 생산설비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개발할 방침이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추가적인 설비 투자를 최소화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며 “가격경쟁력은 물론 양산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