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산업은 2021년 석유제품 수출액이 4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석유협회(KPA)는 1월27일 “2021년 SK에너지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 4사의 석유제품 수출액이 332억3534만달러(약 39조9000억원)로 전년대비 55% 증가하며 10년만에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수출액 증가율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글로벌 석유제품 수요가 급감한 2020년 대비 54.6%로, 2011년 기록한 64.2% 이후 최고 기록이다.
석유제품 수출액은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하는 국가 주요 수출 품목에서 2021년 5위를 기록해 2020년에 비해 1위 올라섰다.
수출액 증가 요인으로는 고유가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과 정유산업의 전략적 수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21년 정유산업의 가동률 축소 영향으로 석유제품 수출물량 자체는 4.4% 감소했으나 휘발유, 윤활유 등 고부가가치제품을 전략적으로 수출하면서 수출액이 크게 늘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은 2020년 배럴당 3.7달러보다 2배 이상으로 늘어난 9.1달러를 기록해 정유 4사의 수익성 개선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2021년 석유제품 수출 주요 상대국은 수출물량 기준으로 중국(21.5%)과 일본(12.6%), 싱가폴(12.1%), 미국(10.3%), 오스트레일리아(10.1%) 등으로 집계됐다.
경유가 전체 석유제품 수출량 중 가장 많은 42%를 차지했고 휘발유(23%), 항공유(14%), 나프타(7%) 순이었다.
대한석유협회는 2021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글로벌 석유제품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며 2022년 석유제품 수출물량과 수출액이 동반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주요 에너지 기관들은 글로벌 경제회복에 따라 2022년 석유 수요가 2021년보다 증가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석유 수요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2021년 하반기부터 석유 수요 회복이 가시화되면서 정유 4사의 가동률도 점진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인다”며 “정유산업이 글로벌 석유 수요 증대에 맞추어 수출지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제품 수출을 통해 국가 수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인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