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주력제품과 신기술의 선도적인 국제표준 제정 필요성이 대두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월16일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탄소중립 산업전환 민관합동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 등 최근 강화되는 탄소중립 관련 국제환경 규제·인증 동향과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논의됐다.
산업부 담당자들과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 산업 관계자 80여명이 참석했다.
발제자로 나선 임희정 국가기술표준원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CBAM과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지속 가능한 경제활동 기준을 제정한 녹색분류체계에도 국제표준이 적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스마트폰, 전기자동차(EV) 배터리 등 한국이 선도하는 생산제품군과 수소 연료전지 등 탄소중립 신기술에 선도적으로 국제표준을 제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허재용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CBAM과 관련해 “생산제품에 내재한 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과 검증 체계에 대한 국제 기준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한국-EU에서 상호 인정되는 수출제품 단위 산정·검증 체계를 마련하고 각국의 상황에 맞는 탄소규제 정책 이행을 위해 다자·양자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은 “탄소중립의 국제무역 규범화에 따라 탄소장벽은 계속 확대될 전망”이라며 “탄소 배출 기초데이터(LCI DB) 확보, 생산기업 맞춤형 탄소 배출량 산정 컨설팅, 저탄소 공정설계 플랫폼 개발 등 각종 지원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홍인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