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렌(Propylene)은 한국산이 급락했다.
아시아 프로필렌 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멈추었으나 한국산은 초강세의 역풍이 불면서 1100달러가 무너졌다.

프로필렌 시세는 5월19일 FOB Korea가 톤당 1095달러로 50달러 급락했으나 CFR SE Asia는 1230달러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중화권도 CFR China는 1075달러로 30달러 하락했으나 CFR Taiwan은 114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국제유가가 5월19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112.55달러로 5.10달러 폭등했으나 나프타(Naphtha)가 5월20일 C&F Japan 톤당 904달러로 26달러 급락한 영향이 일부 작용했다.
중국이 상하이(Shanghai) 봉쇄 장기화의 영향으로 산업 생산이 침체돼 수요가 줄어든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산은 롯데케미칼이 5월9일 여수 소재 에틸렌 120만톤, 프로필렌(Propylene) 66만5000톤 크래커의 정기보수에 들어갔으나 여천NCC가 5월4일 기술적 문제로 가동을 중단한 여수 소재 No.2 에틸렌 91만5000톤, 프로필렌 59만톤 크래커를 재가동해 급락을 막지 못했다.
에쓰오일이 5월19일 계획에 없이 온산 소재 프로필렌 생산능력 70만5000톤의 No.2 RFCC(Residue Fluid Catalytic Cracker) 가동을 중단했으나, 일본 에네오스(Eneos)가 가와사키(Kawasaki) 소재 에틸렌 54만톤, 프로필렌 30만8000톤 크래커를 5월7일 재가동해 큰 영향이 없었다.
중국산은 중국 Ningbo Kingfa Advanced Materials이 4월21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프로필렌 생산능력 60만톤의 PDH(Propane Dehydrogenation) 플랜트를 재가동함에 따라 하락이 불가피했다. (박한솔 책임연구원)